Kubernetes ‐ 볼륨(Volume) - dnwls16071/Backend_Summary GitHub Wiki

📚 파드가 가지는 문제점 정리

  • 쿠버네티스를 활용하면 특정 프로그램을 파드로 띄울 수 있다.
  • 프로그램에 기능이 추가되면 쿠버네티스는 기존 파드에서 변경된 부분을 수정하지 않고, 새로운 파드를 만들어 통째로 갈아끼우는 방식이다.
  • 만약 파드가 MySQL을 실행시키는 파드라면 MySQL에 저장된 데이터도 같이 삭제가 되어버린다.
  • 따라서 파드 내부에 저장된 데이터가 삭제되면 안되는 경우라면 볼륨(Volume)이라는 개념을 활용해야 한다.

📚 쿠버네티스의 볼륨(Volume)

  • 볼륨(Volume)이란, 데이터를 영속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방법이다.
  • 쿠버네티스에서 볼륨은 크게 2가지로 나뉜다.

[ 로컬 볼륨 ]

image

  • 파드 내부의 공간 일부를 볼륨으로 활용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해당 방식은 파드가 삭제되는 즉시 데이터도 삭제되기 때문에 잘 사용되지 않는다.

[ 퍼시스턴트 볼륨 ]

image

  • 파드 외부의 공간 일부를 볼륨으로 활용하는 방식이다. 해당 방식은 파드가 삭제되는 것과 상관없이 데이터를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현업에서 이 방식을 주로 사용한다.

📚 퍼시스턴트 볼륨 클레임(PVC)

  • PVC는 파드와 퍼시스턴트 볼륨 사이에서 중개자 역할을 담당한다.

image

PVC - Kubernetes 공식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