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aph TD
A[사용자 입력] --> B[Suno AI]
B --> C[맞춤형 음악 트랙]
C --> D[YouTube BGM]
C --> E[게임 음악]
C --> F[광고 음악]
C --> G[힐링/LO-FI 음악]
Loading
Suno AI란? 음악 스타일과 분위기를 입력하면 AI가 맞춤형 음악을 생성하는 "음악 작곡 서포터"
| 원칙 |
설명 |
예시 |
| 간결성 |
단답 형식의 명확한 문장 |
"90년대 알앤비, 색소폰, 로맨틱" |
| 단일 목표 |
하나의 주요 장르에 집중 |
"트로트" (명확) vs "트로트+록+재즈" (혼란) |
| 구체성 |
짧고 명확한 형용사 사용 |
"에너지틱", "몽환적" |
나쁜 예: "80년대 일본풍 시티팝으로 색소폰과 피아노가 중심적이고 재즈 느낌이 나는 음악을 만들어 달라"
개선: "Japanese City Pop, Saxophone, Piano, Jazz, Romantic"
mindmap
root((프롬프트 구성))
장르 + 시대
90년대 알앤비
1920년대 재즈
80년대 디스코
주요 악기
색소폰
전자기타
신디사이저
감정 표현
에너지틱
몽환적
릴렉싱
송폼 구조
인트로
Verse
코러스
브릿지
아웃트로
Loading
시대 설정에 따른 같은 장르의 변화:
| 시대 |
디스코 특징 |
| 1970년대 |
클래식 디스코, 오케스트라 편곡 |
| 1980년대 |
신디사이저 중심, 전자음 강화 |
| 1990년대 |
하우스와 융합, 댄스 요소 강화 |
{
"장르": "K-Pop Dance, Techno",
"송폼": ["인트로", "벌스", "코러스", "브릿지", "아웃트로"],
"주요악기": ["신디사이저", "일렉트릭 기타", "드럼머신"],
"키워드": ["Energetic", "Synth-heavy", "Dance Beat"]
}
flowchart LR
A[복잡한 아이디어] --> B[ChatGPT에 요청]
B --> C["대표 키워드 6개로 정리"]
C --> D[영어 번역]
D --> E[Suno AI 입력]
Loading
| 언어 |
장점 |
단점 |
권장도 |
| 한국어 |
이해 용이 |
K-Pop으로 오인식 가능성 |
⭐⭐ |
| 영어 |
정확한 장르 인식 |
번역 필요 |
⭐⭐⭐⭐⭐ |
graph LR
A["나쁜 예:<br/>로파이 느낌의 힙합인데<br/>기타가 잔잔하게 나오고<br/>전체적으로 편안한 분위기"]
A --> B["좋은 예:<br/>Lo-fi Hip Hop<br/>Soft Guitar<br/>Relaxing Beat"]
Loading
| 장르 |
기본 구성 |
추가 키워드 |
| 시티팝 |
Japanese City Pop, 80s |
Saxophone, Synthesizer, Nostalgic |
| 로파이 |
Lo-fi Hip Hop |
Soft Guitar, Vinyl Crackle, Chill |
| 디스코 |
70s Disco |
Funky Bass, Energetic, Dance Beat |
| 재즈 |
Smooth Jazz |
Piano, Double Bass, Sophisticated |
graph TD
A[명확한 장르 + 시대] --> D[완성된 프롬프트]
B[구체적인 악기 2-3개] --> D
C[절제된 감정 표현 1-2개] --> D
D --> E[만족스러운 결과물]
Loading
-
간결함이 핵심: 장황한 설명보다 정확한 키워드
-
시대 설정 필수: 같은 장르도 시대에 따라 다른 결과
-
ChatGPT 적극 활용: JSON 형식 분석과 키워드 정리
-
영어 사용 권장: 정확한 장르 인식을 위해
-
2-3개 요소 조합: 장르 + 악기 + 감정의 균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