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_프롬프트 고급 기법 - yojulab/learn_promptengineerings GitHub Wiki
핵심 학습 구조
mindmap
root((1일 과정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언어 맥락성
맥락 이해
상황별 전략
효과적 설계
고급 기법
복잡한 프롬프트
심화 전략
실무 적용
일관성 설계
표준화 방법
재현 가능성
체계적 접근
자동화 평가
객관적 측정
성능 지표
개선 방법
교육 과정 구성
| 모듈 |
주제 |
학습 목표 |
접근 방식 |
| 4 |
언어의 맥락성에 따른 프롬프트 설계 전략 |
맥락 기반 프롬프트 설계 역량 |
이론 + 전략 수립 |
| 5 |
프롬프팅 고급 기법 실습 |
심화 기술 습득 및 적용 |
실습 중심 |
| 7 |
일관성 있는 프롬프트 설계 및 자동화 평가 |
체계적 평가 및 최적화 |
실습 + 평가 |
언어 맥락성 기반 설계 전략
맥락성의 중요성
flowchart TD
A[사용자 의도] --> B[맥락 정보 추출]
B --> C[프롬프트 구조화]
C --> D[맥락 기반 설계]
D --> E[AI 모델 처리]
E --> F[정확한 결과 도출]
B --> G[상황 정보]
B --> H[배경 지식]
B --> I[제약 조건]
G --> C
H --> C
I --> C
맥락성 설계 요소
| 맥락 요소 |
설명 |
적용 방법 |
| 도메인 컨텍스트 |
특정 분야의 전문 지식 |
업무/분야별 용어와 규칙 반영 |
| 상황적 맥락 |
현재 상황과 조건 |
시간, 장소, 환경 요소 명시 |
| 의도적 맥락 |
사용자의 최종 목표 |
원하는 결과물 형태 구체화 |
| 제약적 맥락 |
제한 사항과 경계 |
금지사항, 범위, 형식 제한 |
고급 프롬프팅 기법 실습
심화 기법 카테고리
graph LR
A[고급 프롬프팅 기법] --> B[역할 기반 프롬프팅]
A --> C[연쇄 사고 기법]
A --> D[구조화된 출력]
A --> E[조건부 로직]
B --> B1[페르소나 설정]
B --> B2[전문가 역할 부여]
C --> C1[단계별 추론]
C --> C2[논리적 연결]
D --> D1[템플릿 활용]
D --> D2[형식 지정]
E --> E1[IF-THEN 조건]
E --> E2[다중 시나리오]
실습 중심 학습 접근법
| 실습 유형 |
목표 |
평가 기준 |
| 기본 → 고급 변환 |
단순 프롬프트의 고도화 |
응답 품질 향상도 |
| 도메인별 특화 |
분야별 맞춤 프롬프트 |
전문성 반영도 |
| 복합 작업 처리 |
다단계 작업 통합 |
완성도 및 효율성 |
| 에러 처리 전략 |
예외 상황 대응 |
안정성 및 견고성 |
일관성 있는 프롬프트 설계
일관성 확보 전략
flowchart LR
A[일관성 요구사항] --> B[표준화 프레임워크]
B --> C[템플릿 개발]
C --> D[가이드라인 수립]
D --> E[품질 검증]
E --> F[지속적 개선]
B --> G[구조 표준화]
B --> H[용어 통일]
B --> I[형식 일관성]
설계 원칙 및 체크리스트
| 원칙 |
세부 기준 |
검증 방법 |
| 구조적 일관성 |
동일한 프롬프트 패턴 사용 |
템플릿 준수율 측정 |
| 용어 표준화 |
통일된 전문 용어 사용 |
용어집 기반 검증 |
| 출력 형식 통일 |
일정한 응답 구조 |
형식 규칙 준수도 |
| 품질 기준 유지 |
최소 성능 수준 보장 |
벤치마크 테스트 |
자동화 평가 시스템
평가 자동화 프로세스
sequenceDiagram
participant P as 프롬프트
participant A as AI 모델
participant E as 평가 엔진
participant M as 메트릭 계산기
participant R as 리포트 생성기
P->>A: 프롬프트 실행
A->>E: 응답 결과
E->>M: 성능 데이터
M->>M: 지표 계산
M->>R: 평가 결과
R->>P: 개선 권장사항
자동화 평가 지표
| 평가 영역 |
핵심 지표 |
측정 방법 |
| 정확성 |
의도 일치도, 사실 정확성 |
참조 답안 대비 일치율 |
| 일관성 |
반복 실행 시 유사성 |
다중 실행 결과 비교 |
| 효율성 |
토큰 사용량, 응답 시간 |
자원 사용량 측정 |
| 품질 |
명확성, 완전성, 유용성 |
다차원 스코어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