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5.28(수) 컨텐츠_뉴스레터팀 회의록 - woowacourse/working-scholars GitHub Wiki
투다
키보드 좋아하시나요?
혹은 주변 크루들이 어떤 키보드 쓰는지 궁금한적 있나요?
맞다면 이 글을 주목해주세요!
키보드에는 여러 종류가 있는데요!
펜타그래프
기계식
무접점(무쩝쩝)
멤브레인
다음과 같이 간단하게 정리해보았습니다!
구분 | 방식 설명 | 키감 | 소음 | 내구성 (수명) | 대표 용도 / 특징 |
---|---|---|---|---|---|
기계식 | 각 키에 독립된 스위치가 있음 | 뚜렷하고 경쾌함 | 축마다 다름 | 높음 (5천만회 이상) | 타이핑 만족도 높음, 축 종류 다양 (청축, 갈축, 적축 등) |
무접점 | 전기 신호로 입력, 물리 접점 없음 | 부드럽고 정밀함 | 조용한 편 | 매우 높음 (7천만회+) | 고급..? 타자 경험, 리얼포스/해피해킹 등 고가형에 사용됨 |
펜타그래프 | 가위식 구조의 멤브레인 변형 | 짧고 부드러움 | 조용한 편 | 중간 (2천만회 내외) | 노트북 키보드, 휴대성 중시 |
멤브레인 | 고무 돔이 눌리며 접점이 생김 | 말랑말랑함 | 가장 조용함 | 낮음 (1천만회 내외) | 저가형 키보드, 사무용에 흔히 사용됨 |
주변 크루 3명을 붙잡고 무슨키보드쓰는지 물어봤습니다!
가성비의 독거미입니다
칼리)
독거미 is good 하지만 파란색은 사지말것
루키)
조금 비싸지만 한번 사두면 평생?가는 qk65입니다.
투다)
조금 비싸지만 튼튼해서 막쓸수있는 evo80입니다.
그 외에 소개는 못받았지만 예쁜 키보드들 사진을 올려볼게요!
링크의 레코드 엘리스 + 히야신스 + 측각키캡 커스텀
피글렛
크루분들은 우아한테크코스 크루들 글이 모여있는 테크 블로그를 알고 계신가요?
이전 기수부터 크루들이 쌓아온 지식을 다함께 글로 공유 하던 블로그입니다. 현재는 활성화 되지 않은 상태지만, 선배들이 공유한 지식들을 경험해보는건 어떨까요? Github부터 Java, 네트워크, 인프라까지 다양한 분야의 글이 있으니, 궁금한 지식은 여기서 찾아보아도 좋을 것 같습니다! 📚
이번 주에 추천 하는 글들을 가져와 봤어요 :) 이 외에도 많은 글들이 있으니 구경해보세요!
이 글에서는 컴파일, 빌드, 배포의 개념부터 CI(지속적 통합)와 CD(지속적 배포)의 흐름까지 개발자가 자주 듣지만 헷갈릴 수 있는 핵심 개념들을 상세하고 알기 쉽게 설명해줍니다.
특히 Jenkins와 같은 도구를 통해 자동화된 빌드/테스트/배포가 얼마나 우리 삶을 편하게 해주는지 직접 느낄 수 있는 글이니, 자동화의 세계에 한 발 다가가고 싶은 크루들에게 강력 추천합니다! 🚀
JPA의 내부 동작 원리를 이해하고 싶은 크루들에게 추천하는 글입니다!
JPA를 사용할 때 자주 마주치는 프록시 객체의 개념과 동작 원리를 명확하게 풀어줍니다. getReference(), 지연 로딩, 초기화 여부 등 실제 개발 중 헷갈리기 쉬운 부분들을 예제와 함께 직관적으로 설명해주기 때문에, JPA를 좀 더 깊이 이해하고 싶은 개발자라면 꼭 읽어볼 만 한 글입니다.
특히 프록시 객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예외 상황이나, 이를 방지하기 위한 전략도 함께 소개되니 관심있는 분들은 읽어 보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우아한테크코스 여러분!
이제 어느덧 6월을 맞이할 준비를 하게 되었네요 🌿
다가오는 6월도 우아한테크코스 뉴스레터와 함께 힘차게 보내시길 바라겠습니다 💪
이번주도 캠퍼스에서 즐겁게 진행된 이벤트 소식과,
놓치면 아쉬운 크루들의 키보드 추천도 함께 전해드립니다!
“어? 이 글, 나만 보기엔 너무 아깝다!”
개발자라면 한 번쯤 그런 생각 해보신 적 있으시죠?
선릉 이벤트 근로팀에서는 지난주, 크루들이 서로에게 유익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개발자 추천 글 공유 스레드’ 이벤트를 진행했어요! 🚀
크루들은 자신이 감명 깊게 읽었던 기술 블로그, 공식 문서, 실전 노하우가 담긴 글 등을 댓글로 공유하며
함께 배우고 성장하는 따뜻한 분위기를 만들어주었답니다. 🌱
이번 이벤트에는 프론트엔드, 안드로이드 크루들의 다양한 추천 글이 이어졌는데요, 몇 가지를 살짝 소개해드릴게요!
[시지프의 UI Variation에 유연하게 대응하기]
"늘어나는 props 때문에 불안했던 분들!
스파게티 코드에서 벗어나는 실마리를 얻을 수 있어요.
'코드 구조'에 대한 통찰이 돋보입니다."
[모던 자바스크립트 딥다이브 정리]
"JS 개념뿐 아니라 웹 프로그래밍 전반에 대해 잘 정리돼 있어요!
자료 정리가 이렇게 아름다울 수 있나요? 😆"
[Frontend Fundamentals - 코드 퀄리티]
"예쁜 코드의 기준이 궁금하신 분들께 강력 추천!
리팩토링할 때마다 한 번씩 꺼내보게 되는 글이에요."
[Fragment에서 메모리 릭 방지하는 방법]
"공식 문서를 기반으로 한 알짜 정보!
View Binding을 안전하게 사용하는 법이 아주 잘 설명돼 있어요."
[Fragment 트랜잭션 완전 정복]
"add vs replace, setReorderingAllowed(true)는 언제 쓰는 걸까?
생명주기부터 백스택까지, 궁금증이 시원하게 풀리는 글이에요."
[왜 Array 대신 List를 써야 할까?]
"데이터 클래스 생성자에 Array를 넣지 말라는 이유, 이 글을 읽으면 단번에 이해됩니다!
실제 코드에서 마주치는 문제를 해결해주는 좋은 글이에요."
“다들 숨겨놓은 보석 같은 글을 공유해줘서 저장 폴더가 풍성해졌어요!”
이번 이벤트는 단순한 링크 공유를 넘어, 각자의 성장 기록을 함께 나누는 의미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
여러분들은 키보드 좋아하시나요?
혹은 주변 크루들이 어떤 키보드 쓰는지 궁금한적 있나요?
맞다면 이 글을 주목해주세요!
키보드에는 펜타그래프, 기계식, 무접점, 멤브레인까지 여러 종류가 있는데요!
종류별로 다음의 특징을 가지고 있어요!
구분 | 방식 설명 | 키감 | 소음 | 내구성 (수명) | 대표 용도 / 특징 |
---|---|---|---|---|---|
기계식 | 각 키에 독립된 스위치가 있음 | 뚜렷하고 경쾌함 | 축마다 다름 | 높음 (5천만회 이상) | 타이핑 만족도 높음, 축 종류 다양 (청축, 갈축, 적축 등) |
무접점 | 전기 신호로 입력, 물리 접점 없음 | 부드럽고 정밀함 | 조용한 편 | 매우 높음 (7천만회+) | 고급..? 타자 경험, 리얼포스/해피해킹 등 고가형에 사용됨 |
펜타그래프 | 가위식 구조의 멤브레인 변형 | 짧고 부드러움 | 조용한 편 | 중간 (2천만회 내외) | 노트북 키보드, 휴대성 중시 |
멤브레인 | 고무 돔이 눌리며 접점이 생김 | 말랑말랑함 | 가장 조용함 | 낮음 (1천만회 내외) | 저가형 키보드, 사무용에 흔히 사용됨 |
주변 크루 3명에게 무슨 키보드를 쓰는지 물어봤습니다!
칼리)
독거미 is good 하지만 파란색은 사지말것
루키)
조금 비싸지만 한번 사두면 평생?가는 qk65입니다.(해당 모델은 단종되었습니다)
투다)
조금 비싸지만 튼튼해서 막쓸수있는 evo80입니다.
그 외에 소개는 못받았지만 예쁜 키보드들 사진을 올려볼게요!
링크의 레코드 엘리스 + 히야신스 + 측각키캡 커스텀입니다.
마지막으로 기계식 키보드에 관심이 많은 백엔드 크루 훌라에게 질문을 해보았습니다!
훌라의 애착키보드 QK65 V2 클래식입니다.
- 타건을 할때 누르는 느낌이 다른 키보드보다 좋습니다.
- 눌리는 지점을 원하는대로 커스텀할 수 있습니다.
- 커스텀할 수 있기 때문에 무엇을 원하든 커스텀할 수 있습니다.
- QK65 V2 클래식입니다. (가격 42만원)
- 직접 부품들을 조립해야해서 초심자분들에게는 조금 버거울 수 있습니다.
- 크기가 작은 키보드를 사고 싶었습니다.
- 소리를 중요시 하는데, 통울림이 심한게 싫어서 통울림이 작은 알루미늄 바디를 찾다보니 선택하게 되었습니다.
- 초판 디자인이 예뻐서 커스텀하기 쉬울 것 같았습니다.
- 사실 10만원대가 가장 적절한 가격이라고 생각합니다. 초심자 분들은 꼭 가성비모델부터 시작하는것을 추천드립니다.
- 하지만 감성을 중요시한다면 투자할만 하다고 생각합니다.
- 고민은 배송만 늦출뿐
- 커스텀하기가 크게 어렵지 않으니 걱정하지 않고 TDD 해보시기 바랍니다.
- 어려우면 훌라를 찾아오세요!
크루들의 키보드 이야기가 여러분의 선택에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다음주 6월 5일 목요일 14시, 크루들이 흥미로운 주제들로 테코톡을 진행합니다!
-
MySql의 락 - 한스 (백엔드)
MySql에 존재하는 락의 종류와 사용되는 상황에 대해 공유합니다.
-
B-Tree 인덱스와 클러스터링 인덱스 - 프리, 말론 (백엔드)
B-Tree를 활용한 DB 인덱스, InnoDB와 MyISAM의 인덱스 방식 및 클러스터링 인덱스 도입 이유를 소개합니다.
-
스프링 AOP - 투다 (백엔드)
스프링의 핵심 철학인 AOP가 등장하게 된 계기와 AOP를 사용하는 방법들을 소개합니다.
-
안드로이드 구조 분리와 의존성 - 조이 (안드로이드)
Activity에 몰린 책임을 분리하기 위해 어떤 구조가 필요할지 고민하며 구조 분리를 적용해본 경험을 공유합니다.
-
HTTP 클라이언트 설계 및 요청 처리 메커니즘 분석: fetch와 axios - 리바이 (프론트엔드)
fetch와 axios가 각각 어떻게 요청을 처리하고 내부적으로 구조화되어 있는지를 비교 분석합니다.
-
useState는 어떻게 함수형 컴포넌트에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까? - 머핀 (프론트엔드)
함수형 컴포넌트의 특징과 변수의 소멸과 useState의 내부 동작 원리를 바탕으로 상태가 유지되는 이유를 설명합니다.
오늘의 우아한테크코스 레터는 어떠셨나요?
평소 우아한테크코스 레터로 공유 받고 싶은 소식이 있다면 언제든지 의견 남겨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