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4.24(목) 컨텐츠_영상팀 회의록 - woowacourse/working-scholars GitHub Wiki

회의 맥락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면 하단의 클로바노트 요약본을 확인한다.

안건

주요 안건

  • 첫 영상 주제 정하기
  • 슬랙 스레드에서 논의한 아이디어 정리

부가적인 안건(시간이 남는 경우 진행)

  • 선릉과 잠실의 영상 촬영 컨셉 통일하기
  • 영상의 목표 설정하기

주요 안건1. 첫 영상 주제 정하기

  • 영상을 만드는 사이클을 경험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경험하면서 결정할 내용
      • 어떤 편집 프로그램을 사용할지 결정한다.
      • 편집의 역할분담을 어떻게 할지 결정한다. (컷 편집, 자막 등)
  • 첫 영상은 최대한 간단한 영상을 제작하여 영상 제작에 대한 경험을 해본다.
    • 시청자의 니즈 고려 x
    • 영상 길이 고려 x
  • 첫 영상의 목표는 컨텐츠팀의 성장!

주제: 각 캠퍼스 소개

  • 위치
    • 서울 어디에 있는지
  • 구조
    • 강의실이 몇 개 있는지
    • 모니터가 있는지
    • 밥 먹을 수 있는 공간이 있는지
    • 정수기, 전자레인지, 냉장고는 있는지
  • 영상 길이
    • 빠르게 영상 제작 사이클을 경험할 수 있게 쇼츠로 만들어보자
    • 최대 3분으로 생각해서 영상을 제작
      • 영상의 길이는 편집을 통해 유동적으로 제작하자

주요 안건2. 슬랙 스레드에서 논의한 아이디어 정리

인터뷰

  • 리뷰어분들 방문하실 때 인터뷰
  • 프론트, 백, 안드 크루로 1명당 3초 자기소개 영상
  • 크루들은 어떤 사람들일까? (ex 우테코 오기 전에 뭐하다 왔는지, 평소에 코딩을 잘 했는지 등등...)
  • 우테코 코치는 이렇게나 대단하다 영상

비정규 커리큘럼

이벤트, 워크숍, 브이로그 등


  • 개별 크루들의 학습방식 관찰
  • 토론하는 크루들 관찰 브이로그
  • 방과 후 나머지 공부하는 크루 관찰
  • 크루들의 우테코 내부 활동 탐구하기(ex 스터디, 알고톡 등등...)

정규 커리큘럼

유강스, 페어 프로그래밍, 미션, 코드 리뷰, 데일리 미팅, 테코톡, 레벨 인터뷰, 프로젝트 등


  • 우테코에서는 어떻게 페어 프로그래밍 할까?
  • 우테코 데일리 미팅 시간 인터뷰
  • 우테코의 미션은 어떻게 진행될까
  • 우테코 크루들은 어떻게 공부할까?

부가 안건1. 선릉과 잠실의 영상 촬영 컨셉 통일하기

  • 선릉 + 잠실로 나누지 말고, 클라이언트 백엔드로 나누자
    • 시청자 입장에서는 선릉, 잠실이 궁금한게 아니라 내가 지원한 분야는 어떤 학습환경인지 궁금할것 같다.

부가 안건2. 영상의 목표 설정하기

타겟 분류

  • 우테코를 알고 있는 사람
    • 우테코 지원자
      • 우테코에서 어떤 생활을 하고, 공부를 하는지 (하루를 어떻게 보내는지 궁금해 할듯)
      • 유강스, 페어 프로그래밍 등 우테코에만 있는 생활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 우테코 지원을 고민중인 사람
  • 우테코를 모르는 사람
    • 신입 개발자
    • 취준생
    • 비전공자

추후에 고민해볼 만한 내용

  1. 선릉 + 잠실 함께 작업해야 하는 영상은 어떤게 있을까?
    • 테코톡: 분야별 테코톡 준비 과정을 영상에 담는다.
    • 자기소개: 분야별 자기소개를 영상에 담는다.
  2. 촬영의 목적을 명확히 하자
    • 브이로그
      • 크루들의 생활을 공유한다 ex) 잘 놀고 열심히 공부하는 사람들이다, 학습 외적인 요소 담기
    • 인터뷰
      • 우테코의 교육적인 측면을 다룬다. ex) 우테코에서 크루들이 어떻게 학습하는지, 왜 우테코 사람들의 성장은 빠른지
    • 블로그만 봐서는 우테코 생활에 대해서 알기 어렵다.

클로바노트 요약

주요 주제

  • 유튜브를 통한 가치 창출과 목표 설정
  • 카테고리 분류와 타겟층 니즈 파악
  • 영상 제작과 연습을 통한 적응 기간 필요성

다음 할 일

  • 우태코 지원자를 위한 카테고리 구분을 위한 타겟층 니즈 고민
  • 우태코가 어떻게 굴러가는지에 대한 설명 추가
  • 이벤트 팀에서 기획한 이벤트와 대구 정기 교육 프로그램 구분하여 카테고리 나누기
  • 캔버스 구조 소개 및 구체화, 공유

단락별 요약

유튜브 콘텐츠 방향

  • 유튜브를 통해서 어떤 가치를 창출하고 어떤 목표를 달성할 것인지 먼저 정해야 그다음에 콘텐츠 방향으로 나갈 건지가 명확하게 잡힐 것 같음
  • 브이로그와 인터뷰를 크게 두 가지 카테고리로 나눠봤음
  • 브이로그는 크루드의 생활을 공유하는 것이고 인터뷰는 교육적인 측면을 다뤄서 프로들이 어떻게 하는지 왜 오태포 가면은 상당히 빠른지 공유하는 것임

우테코를 오고 싶어지게 만드는 영상

  • 우테코를 오고 싶어지게 만드는 영상도 하나 필요함
  • 우테코를 모르는 사람을 위해 우테코를 오고 싶어지게 만드는 영상도 필요함
  • 우테코를 모르는 사람을 개발자를 희망하는 사람 정도로 표현될 것 같음

우테코 지원자를 위한 카테고리

  • 카테고리를 나누려면 타겟층의 니즈를 고민해 봐야 될 것 같음
  • 우태코가 어떻게 굴러가는지에 대한 설명 우태호 지원자는 그걸 원할 것 같음
  • 우태코 지원자를 위한 카테고리를 나누려면 어떤 생활을 하는지 크루들이 어떤 공부를 하고 어떤 생활을 하는지에 대한 설명이 필요함
  • 이벤트성으로 하는 것과 대구에서 정기적으로 코치들이 만든 교육 프로그램을 구분해서 카테고리를 나누면 좋을 것 같음

쇼츠의 종류

  • 정규 세션, 비정규 세션, 이벤트 세션으로 3개 정도로 나눌 수 있음
  • 정규 세션은 정규 커리큘럼, 비정규 세션은 비정규 커리큘럼으로 분류함
  • 이벤트 팀이 기획한 건 어지간하면 다 쇼츠가 될 것 같음

영상 촬영 계획

  • 영상을 2주에 하나씩 올려야 되니까 캠퍼스별로 돌아가면서 하나씩 올리는 걸로 하면 좋을지 고민해 보자고 함
  • 같이 촬영해야 될 것들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음
  • 분야별로 한 명씩은 영상에 들어가야 되지 않을까 생각함

잠실 캠퍼스와 설릉 캠퍼스 소개

  • 각자 캠퍼스에서 영상을 찍어본 경험이 없으니 일단 각자 쇼츠 하나를 만들어 보고 합쳐서 어떤 걸 만들지 고민해 보는 것도 좋을 것 같음
  • 경험용 영상으로 잠실 캠퍼스와 설릉 캠퍼스를 소개하는 쇼츠를 각각 만들어 와서 쓸 만하다 싶으면 합쳐보는 건 어떨지 제안함

캔버스 소개

  • 코치님들이 말씀하셨을 때 지금 시점 기준으로 바로 영상을 만들어서 하는 게 아니라 어느 정도 익숙해질 시간을 주고 공식적으로 올리는 적응 기간이 필요할 거라 그거는 천천히 적응해 나가고 지금은 카테고리 구분해 놓은 거 아이디어 정리에 조금 더 초점을 맞추면 좋지 않을까 싶음
  • 코치님들한테 어떤 게 좋아 보이냐고 했을 때 이걸로 한번 만들어 봐요라고 선택받으면 그걸로 만들어 보면서 연습하고 그런 형식이 되지 않을까 생각함
  • 다음 주 월요일 날에 미팅이 있나요? 코치님이랑 하고 캔버스 소개라는 거는 조금 추상적일 수도 있으니까 캔버스의 구조를 소개하는 건지 어떤 걸 소개하는지 조금 구체화를 하고 공유하는 부분 더 좋지 않을까 생각함

홈트 영상 촬영

  • 영상을 찍을 때 1분 30초를 맥시멈으로 두고 뛰어오는 것을 찍어오면 됨
  • 영상에 어떻게 찍을 건지를 추가로 짧게 얘기해 본 다음에 시작하면 될 것 같음
  • 회의를 해서 올려야 되고 홈트에 대한 이야기는 월요일에 하기로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