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주차 공통회의] 2021.07.12~07.18 - woowacourse-teams/2021-gpu-is-mine GitHub Wiki

2021-07-12 Mon

데일리 미팅

1. 코로나 검사 언제 할지?

  • FE, BE 각자 얘기 좀 하고 바로 코로나 검사하자.
  • 17시부터 근로 회의있고, 언제가도 대기해야하니 지금 바로 하자.

⇒ 오늘 14:00 검사받기

2. 컨디션 check

  • 에드: 밀린 백엔드 이슈부터 빨리 쳐내자
  • 완태: 주말 잘 쉬었다. 열심히 하자.
  • 마갸: Job은 몰라도 Queue는 이번주 잡고 가고 싶다. 수요일까지 Queue 가 완성되어야 하지 않나 생각
    • 에드: Queue가 완성되려면 Job도 완성되어야 하지 않나?
    • 마갸: ??!! (인터넷 끊겨서 잘 못들음)
  • 콜린: 주말 잘 쉬었음. 데모전까지 풀타임으로 열심히 하겠다. Figma로 시안을 더 작성해야 할 것 같다. 코로나 검사
  • 동동: 주말 잘 쉬었음. FE-BE 통신 방법 궁금하다. 수요일에 FE-BE 통신 테스트 해보는 걸로
  • 코기: 엔티티 설계 빨리 해야 한다. 누군가는 채찍질을 해야 한다. 우리가 잘 하고 있는지 한번 점검해보는 시간이 있었으면 좋겠다.

3. 깃헙 이슈 해소 시간

  • FE, BE 공통 라벨링 되어 있는 이슈 정리

데일리 미팅(오후)

  • RabbitMQ, Redis 도입이 현재 단계에서 성급한 거 아닌가? → 추후 논의
  • 디자인 시안 의견 교환
  • 로고 색깔 변경

2021-07-13 Tue

데일리미팅(오전)

  1. 배럴: 마갸랑 큐 구현 예정
  2. 에드: 코기랑 Job 설계, 구현 예정
  3. 코기: Job 엔티티 설계 예정
  4. 완태: Lab, Member 구현 예정, 테스트 코드, CRUD
  5. 동동: Input 만들 예정.
  6. 콜린: Confirm, Alert 만들 예정. API 통신도 해보면 좋겠다. Job 관련도 반영 예정
  7. 마갸: 배럴과 큐 구현

데일리미팅(오후)

  1. 기업과 미팅: 금요일 오후 4:30 으로 제안

  2. 동동: Input, Form 마무리 짓기

  3. 콜린: Confirm 컴포넌트 만드는게 오늘 목표

  4. 마갸: 배럴이랑 RabbitMQ 도입. 원했던 기능이 제대로 되지는 않았다. publisher가 subscriber 에게 쫙 뿌려주고 그냥 끝나는 것 같았다. 내일 RabbitMQ, Kafka, Redis 도 적용해볼 예정.

  5. 완태: PR 봐줄 사람~ 팀마다 한명씩 해달라. 멤버 관련 이슈가 있다. 머리 자름

  6. 코기: Job 잘 만들고 있다. 조금씩 고쳐가면서 쓰고 있다. 테스트 코드 열심히 짤 예정

  7. 배럴: 마갸랑 같이 하고 있다. 내일 열심히 할 예정

2021-07-14 Wed

데일리미팅(오전)

  1. 동동: 콜린 PR 열심히 리뷰 → API 콜 해보면 좋을듯.
  2. 완태: merge되면 branch 저절로 삭제되게끔 세팅
  3. 마갸: 배럴과 큐 기능 구현할 예정.
  4. 배럴: 큐 관련 기술스택 정하는게 목표
  5. 콜린: 내일 만나자. 스낵바도 보고 있음
  6. 코기
    1. 에드랑 합 맞춰서 PR 쏠 예정
    2. 프론트엔드 어떻게 코드리뷰 할지?
      • UI위주로 크로매틱(스토리북) 이용해서 요청할때만 리뷰하자
    3. 데모데이에 앞서서 통합 작업시에 모이는게 중요할지?
      • BE 4명 이하로 모이자
      • FE 2명 모이자
  7. GpuServerRequest Validation 추후에 구현하자
    1. 일단은 방치하고, 내일 통합할때 맞추자

데일리미팅(오후)

  1. Github Action 이용하여 PR build 자동화 →빌드 통과 못하면 커밋 불가
  2. 준줌방에서 모이는게 좋은지? 다른 크루들이 들어와서 방해하는게 싫다는 소수의견. 유사한 상황이 생기면 된다.
  3. 에드: 인수테스트 코드 작성. 코기랑 모여서 작업물 합치고 PR 올림
  4. 코기: 에드와 동일. 저녁에 마갸랑 근로해야할 듯.
  5. 마갸 배럴: RabbitMQ 잘 돌아감. 적용해도 되겠다..!
  6. 완태: 멤버 했어야 했는데, 젠킨스 봤는데 잘 안되더라. 테스트 관련해서 github action 으로 처리했다.
  7. 콜린 동동: GpuServerInfoItem 반응형 레이아웃 대응했다.

2021-07-15 Thu

우리 팀이 오늘 해야 할 일

  1. 완태: 백엔드 PR 모두 머지하기. 16시에 API 찔러보기. 앞으로의 계획 세우기
  2. 코기: 큐서비스를 더 봐야 할 것 같다. CORS 대응을 하나도 안했는데, 해야할지 고민이 된다.
  3. 에드: PR 머지 목표. 큐팀이 만든 큐 공부좀 할 것 같다.
  4. 마갸: 큐의 리시버를 추가하는 기능이 우리 서버에 없다. 큐에 넣는 기능만 있다. 그거를 만들지 않을까 싶고, 오늘 PR 정리가 되야 발표 준비할 게 보일 것 같다.
  5. 동동/콜린: Confirm/Alert 정리, build 깨지는거 수정 , Layout 집어넣고, API 쏘고. build / deploy 일단 netlify → 추후 cloudfront 도입
  6. 배럴: 취합해보면.. 올라온 PR 정리하면 될 거 같다.

데일리(오후)

  • 데모데이 연습겸 기업 소통시 프론트 데모 느낌으로 보여주자.

  • Job Queue Consumer 가 GM, 인지 GS 인지? 정하자?

    • Job 생명주기 다이어그램을 마갸가 낼 오전에 슬랙으로 공유
  • 대기중인 Job cancel이 가능한지 알아봐야 함

    • 완태: 리서치 결과, 불가. 실행되는 시점에 이 Job이 취소예정인지 아닌지 확인해서 취소예정 아니면 실행하게끔 하는거 같더라.
    • 마갸: 더 찾아보겠다.
    • 완태: 나랑 얘기해보자.
    • 코기: BE 다 같이 하자
  • 마갸: 리스너 등록 어떻게 할지 시뮬레이션 서버 하는 분과 얘기했으면 좋겠다. 플로우차트 그리기

  • 배럴: 발표 구성 해서 태스크 분배

  • 에드: 오전에 코드리뷰하고 PR 피드백 받은거 계속 했다. 테스트 작성.

    • Job 관련 인수테스트 작성 못할거 같다 → 나중에 할 예정
  • 동동: 콜린이랑 카페에서 계속 작업. 비동기 로직이랑 레이아웃 합치기 오늘 할 예정

  • 완태: PR 피드백 계속 반영했다. 내 꺼 먼저 merge 하는게 좋을거 같다.

  • 코기: 아침부터 근로에 시간을 많이 쏟았다. 오늘 PR 좀 털고, 이슈를 재할당하는 시간을 가졌으면 좋겠다. 마음이 붕 뜨지 않게, 다음 태스크를 빨리 어사인하자. 백엔드 남아라

  • 콜린: 데모 시나리오를 한번 생각했으면 좋겠다. 보여줄게 조회 + 등록이 전부일텐데 그 시나리오 관련해서 유효성 검사까지 다 할건지 얘기했으면 좋겠다.

2021-07-16 금

데일리미팅(오전)

  1. 완태: 뭘 할지 몰겠다. exception 붙어도 될 것 같다.
  2. 에드: 배럴 발표할 ppt 만들고, 시간 남으면 큐하고 잡을 연결시키는 로직을 작성하고 싶다. 공용 IP 등록 빨리 하자
  3. 코기: flyway 라고 스키마 이전 툴이 있다. 공부해볼 예정. 큐 관련 아이디어가 떠올라서 주말까지 시도해보겠다.
  4. 배럴: 발표 준비 및 ppt 준비 할 예정. 많이 도와 달라
  5. 마갸: Job 예약 취소 기능을 어떻게 할건지 어제 얘기했었다. Job 생명주기에 대한 flowchart를 정리할 예정. 리스너의 우선 순위가 낮은거 같아서 나중에 할 생각
  6. 콜린: 오늘 2시전까지
  7. 동동: 에러 메세지 구체화하자

RabbitMQ

  1. 코기 vs 마갸, 배럴
  2. 완태: 로그는 Elastic Search 로 하자

기업과의 소통

FE

  • 하나의 서버 안에 보드가 여러개가 될 수 있도록 해야한다.
  • 서버 등록 시 여러개의 보드가 등록될 수 있도록. 보드가 몇 장인지 등록을 해야 한다.
    • 보드가 거의 동일해서 개수 추가 란만 추가해도 괜찮다.
    • 최초 조회를 보드 리스트 화면으로 한다

실제 모습

  • 원래는 하나의 서버에 보드가 여러개다.
  • 실제 Job은 보드에 할당된다.
  • 실제 큐잉은 서버로 두고, 실제 Job은 보드 단위다.

BE

  • lab이 추가되는 순간 Q가 자동으로 생성된다.

  • 반드시 Q 시스템을 써야하는가? No Queue 로 할 수 있을것 같다.

    기업)

    • 기존의 있는 Q 시스템을 쓰는게 구현이 편할거라 생각해서.
    • Q 운영 측면에서도 기존 시스템 활용하는게 더 좋은 상황이 있다.
    • 이게 서비스가 더 커지면 API 서버는 CRUD 에만 집중하는게 좋다고 판단.
    • Redis 를 쓰면 어떨까?
    • DB로 스케쥴링을 해도 된다. 상관없다.
  • Tensor Flow 작업 로그 등 어떻게?

    • 현재 뉴럴웍스는 aws 로그 와처(클라우드 와쳐?) 기능을 그냥 활용하고 있다.
    • 로그: GM → 카프카 →API서버 → 프론트엔드(socket 사용) MUST는 아님

데일리 미팅(오후)

  1. 서버 - 보드 1:1 vs 1:N ⇒ 논의 결과 '데모데이 이후 바로 하자' 로 결정
  2. 데모데이 발표 관련
    1. 발표자가 전권을 가진다
  • 콜린: 배럴 화이팅! job에 대한 논의가 빨리 필요할 것 같다. 개발 속도를 높이고 싶다.
  • 마갸: 큐에 매몰되었던 것 같지만 전반적으로 스무스했다고 생각.
  • 코기: 아이디어가 생각만 나고 정리가 안된 상태에서 논의를 해서 좀 미안했다. 온라인이 오프라인이랑 확실히 다르다. 하다가 질문거리가 생기면
  • 동동:
  • 완태: 이번주 열심히 했다. 카페 갔다가 카페에서 늦게까지 했고.. 화이팅 합시다~!
  • 에드: 생각이 없네. 테코톡 끝나면 100% 몰입하겠다.
  • 배럴: 서로의 생각을 일치시키는 시간이 필요한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