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Jenkins 설치 - woowacourse-teams/2021-drop-the-code GitHub Wiki
배포 자동화
서버 환경
- Ubuntu 18.04
- EC2 t2.medium 100GB
1. Jenkins 설치
jenkins 설치를 위해 repository key 등록
wget -q -O - https://pkg.jenkins.io/debian-stable/jenkins.io.key | sudo apt-key add -
서버의 sources.list에 Jenkins 패키지 저장소를 추가
sudo sh -c 'echo deb https://pkg.jenkins.io/debian-stable binary/ > \
/etc/apt/sources.list.d/jenkins.list'
패키지 인덱스 정보 업데이트
sudo apt-get update
Java JDK 8 설치
sudo apt-get install -y openjdk-8-jdk
Jenkins 패키지 설치
sudo apt-get install -y jenkins
Jenkins 설치 확인
sudo service jenkins status
- Active: active 라면 정상 구동 중
Jenkins Web
initial password 확인
sudo vim /var/lib/jenkins/secrets
initialAdminPassword 선택
initialAdminPassword 입력
플러그인 설치
설치
초기 계정 정보 입력
- 계속 Jenkins 로그인을 위해 사용하는 정보
- 계졍명 - id
- 암호 - password
- 이름, 이메일 - 중요하지 않음
접속 포트 지정
- 현재 주어진 보안그룹에 모든 ip에서 접속할 수 있는 포트는 80, 8080, 8888, 8000포트밖에 없음
- 기억하기 쉽게 일단 8080으로 지정
- 나중에 보안그룹을 직접 편집할 기회가 있다면 8080포트에 대한 ip 허용을 관리자 ip만 지정하는 것이 좋다
- 나중에 github webhook을 사용할거라면 github이 명시한 특정 ip에 대한 허용도 지정해야 한다.
- github-public-ip-list : https://api.github.com/meta
시작!
설치 완료
- jenkins 할아버지가 보인다면 설치 완료!
Inde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