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 안건 회의 Jenkins (20.07.27) - woowacourse-teams/2020-songpa-people GitHub Wiki
🌞 날짜
2020-06-16
👨👩👧👧 참석자
all
회의 내용
Jenkins 동작 원리
- 동작 원리
- item → free style project → github → build(jar 만들어짐) → ssh publish plugin(보안 ftp)
- bulid 과정에 deploy.sh 가 있어서 tar 파일을 만들어줌
- Tomcat 이 있는 EC2 에 tar 보내줌 → ssh publish plugin 이 Tomcat ec2 로 보낼 때 tar 압축 해제하고 sh 실행하라는 명령어까지 같이 보낸다
- 우리의 jenkins 는 도커 의존성 없이 ec2에 바로 설치한다.
- pr 보냈을 때 / push 했을 때 왜 빌드를 자동으로 하는가 → 사람의 실수를 방지한다.
- checkout scm → git branch 에 대한 모든 정보를 가져온다.
- Github Hook → 이벤트를 설정해서 젠킨스가 자동으로 동작하게 하는 것(ex. pr이 생성되었을 때 자동으로 빌드하기)
- publish over ssh → sftp 로 파일 전송을 하게 해주는 플러그인
- 원격 조종할 서버를 설정해야 한다. → 젠킨스에서 공개키 / 비밀키를 만들어서 관리한다(비밀키는 젠킨스 서버, 공개키는 리모트 서버에 등록한다.)
- 마스터에 보냈을 때 딱 배포하게 하면 안된다.
- 웹 / 어드민의 배포 전략이 다르기 때문이다
- job 을 두 개 만든다
- 웹 / 어드민
- 각각 다른 빌드 전략을 이용해서 배포한다.
추후 과제
- free style project → pipe line 으로 마이그레이션 하기
- 단계별로 어디서 실패했는지 정확하게 보여준다.
- 쉘 스크립트를 보완해야 한다.
- 서브 모듈을 지금 당장 사용을 못하니까 시크릿 파일을 젠킨스에 넣어놓아야 한다. → 근데 키 공유를 젠킨스 서버 / 우리끼리 공유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기타
- District에 Activate → Zone에 Activate ⇒ District로 Activate하던 것을 Zone으로 바꿨다.
- Vue에서 method에 function을 생략하자. → 가결. 이제부터 생략하라.
- 기록 정리 기준 정함 (Git & Notion)
- pr에 대해 팀원 모두를 리뷰어로 포함시키니 머지 되는 속도가 너무 느리다.
- PR 24시간 내에 머지하기.
- 24시간 지나면 재촉 가능.
- 추후에 벌금 제도 도입이 가능할 수 있음
- kakao-api 중복 데이터가 생기는 데 kakao-scheduler에서 중복데이터를 처리하도록 구현했다.
- 이번 스프린트에서 vue와 로그를 빠르게 마무리해서 발표를 하자!
- HashtagMapException에 super를 추가해서 ErrorMessage는 RuntimeException에서 갖고있게 하자.
- 독립적인 API에서 성공여부를 가지고 있는 ResponseEntity를 내려주자.(나중에 다시 회의 예정)
- jacoco의 @Generated를 달아놓으면 테스트 커버리지에서 빠진다. @Generated는 클래스나 메서드, 생성자에 달아줄 수 있다. ⇒ equalsAndHashcode에만 달자. override 한 equals와 hashcode에다가 어노테이션을 달자.
- 수요일에 오전 10시에 팀 단위로 뷰에 대해 리뷰하고 수정하기. 그 자리에서 수정할 건 하고 못하는 건 이슈로 넘기자.
- 말풍선 → 다음 depth로 모달하기로 함. 학성이 수요일까지 해보기로 함.
- 7월 28일 내일 모여서 탄력적 IP 같이 설정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