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ESP32 Blink(점멸) - sunbang123/Smart_device GitHub Wiki

실습 보고서

아두이노 보드

  • 아두이노 보드는 하드웨어적인 기능을 수행하며, 컴퓨터와의 통신을 위해 드라이버라는 소프트웨어가 필요.
  • 아두이노 보드를 컴퓨터와 연결하면 드라이버를 통해 컴퓨터는 해당 보드를 인식함.
  • 아두이노 IDE라는 소프트웨어를 통해 아두이노 보드를 제어할 수 있음.

장치 드라이버 설치

  • CP210x USB 드라이버를 다운로드 해서 운영체제에 맞게 설치.

아두이노에서 지정보드 설정

  • 1-1. 제어판>하드웨어 및 소리>장치관리자 창을 띄움.
  • 1-2. 제어판에서 포트 번호(COM)를 확인한 후 IDE에서 Tool>Port>(올바른 포트 번호) 를 선택.
  • 1-3. IDE에서 Tools>Bord>ESP32>ESP32 DEV MODULE(장치 모듈)을 선택.

코드

int LED_BUILTIN = 2;
// 리셋을 누르거나 보드에 전원을 공급할 때 설정 기능이 한 번 실행됨.
void setup() {
  // 디지털 핀 LED 초기화_출력으로 내장됨.
  pinMode(LED_BUILTIN, OUTPUT);
}

// 루프문을 통해서 LED가 켜졌다 꺼졌다를 계속 반복하도록 함.
void loop() {
  digitalWrite(LED_BUILTIN, HIGH);  // LED를 켬(HIGH는 전압 레벨)
  delay(1000);                      // 지연시간 1초
  digitalWrite(LED_BUILTIN, LOW);   // 전압을 낮게 하여 LED를 끔
  delay(1000);                      // 지연시간 1초
}

컴파일링 및 실행

  • 2-1. SELECT 창에 ESP32 DEV MODULE를 선택한 후 -> 버튼을 눌러 컴파일(compile)해줌.
  • 2-2. 컴파일링이 진행될동안 장치의 오른쪽 버튼(업로드 버튼)을 2초 누름.
  • 2-3. 컴파일이 성공하면 아래의 화면처럼 출력이 되는걸 볼 수 있음.

에러


에러코드

....
A fatal error occurred: Failed to connect to ESP32: Wrong boot mode detected (0x13)! The chip needs to be in download mode.
For troubleshooting steps visit: https://docs.espressif.com/projects/esptool/en/latest/troubleshooting.html
Failed uploading: uploading error: exit status 2
  • 위 에러는 ESP32 보드 업로드 버튼을 누르지 않아 발생한 문제임. 업로드 버튼을 누르면 해결!
  • 보드 설정(ESP32, COM)을 보드 환경에 맞게 설정하면 해결!

결과

https://user-images.githubusercontent.com/93497158/227442799-6c702c30-2bc1-4867-92a7-0efb57037d45.mp4

실습을 통해 느낀점

  •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간의 상호작용이 중요하며, 드라이버는 하드웨어와 컴퓨터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함.
  • 아두이노 보드를 컴퓨터와 연결하여 사용하려면 해당 보드의 드라이버를 설치해야 하고, 업로드 버튼을 눌러야 함.
  • 보드 설정을 보드 환경에 맞게 설정해야 함.
  • 문제가 발생하면 적절한 해결책을 찾아 해결해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