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 시작하기#2 커밋, Pull, Push, 페치해보기 - sejong-interface/Interface_Manual GitHub Wiki
Git
cede repository (코드 저장소)
Push, Pull은 뭘까?
필자는
전자공학과이기에 정확히는 모른다!
만약 깃허브가 아닌 네이버 메일을 주고 받으며 협업을 한다고 해보자 A 라는 사람이 자기 부분의 코딩을 끝내고 B라는 사람에게 지금까지 한 내용을 보내 B가 이어서 코딩을 할때 이때 메일로 보내는 작업이(Push) 메일을 받아 자기 저장소에 저장하는 작업이(Pull) 인것이다.
Push 해보기
일단 한번 해보자
우선 옆에 메뉴를 보면 크게 파일 상태와 브랜치로 이루어져 있다. 작업공간은 전편Git 시작하기#1 Git, Sourcetree 설치 및 계정연결에서 Clone 할때 지정한 소스가 저장된 경로이다.
그렇다면 작업공간에서는 무엇을 할수 있을까?
- 작업공간을 클릭한다음 우선 작업 경로로 가서(화면의 익스플로러에서 열기를 누르면 된다.) test.txt 파일을 하나 생성해본다. 그렇다면 아래의 사진처럼 작업공간 화면이 바뀌게 된다.
- 여기서 커밋을 하기 위해서는 모두스테이지에 올리기를 통해 스테이지에 올린다음 커밋 메세지를 작성하고(필수) 커밋버튼을 누르면 된다.
그러면 아래와 같이 Push에 1이 뜨는것을 볼수 있다.
- 그다음으로 Push를 누르고 아래와 같은 메세지에서 다시한번 Push를 누르면 깃허브의 repository(저장소)에 소스가 올라가게 된다.
Pull 해보기
위에서처럼 팀원이 repository에 push를 했는데 변경된 소스를 내 저장소에서도 저장을 하고싶은데 어떻게 해야할까....?
이것도 일단 한번 해보자
- 우선 페치버튼을 누른다음 나오는 메세지 창에서 확인버튼을 누른다.
-
만약 repository에 변경사항이 있다면 Pull에 숫자가 떠있을것이다. 그러면 Pull을 눌러 변경된 소스코드를 적용시켜주면 된다!
-
협업을 할때 소스를 작성하기 전에 페치를 해 변경사항이 있는지 확인해보고 하는것이 좋다.
(개인적인 의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