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장_아이템20 - ririkat/effective-java GitHub Wiki
아이템 20. 추상 클래스보다는 인터페이스를 우선하라
-
자바가 제공하는 다중 구현 메커니즘
- 인터페이스
- 추상 클래스
-
인터페이스와 추상 클래스의 차이점
- 추상 클래스가 정의한 타입을 구혆나느 클래스는 반드시 추상 클래스의 하위 클래스가 되어야 하는 반면, 인터페이스가 선언한 메서드를 모두 정의하고 그 일반 규약을 잘 지킨 클래스라면 다른 어떤 클래스를 상속했든 같은 타입으로 취급된다.
- 추상 클래스 방식은 새로운 타입을 정의한느 데 커다란 제약을 안게 된다.
- 인터페이스 방식은 기존 클래스에도 손쉽게 새로운 인터페이스를 구현해넣을 수 있는 반면, 기존 클래스 위에 새로운 추상 클래스를 끼워넣기 어렵다. 두 클래스가 같은 추상 클래스를 확장하길 원한다면, 그 추상 클래스는 계층구조상 두 클래스의 공통 조상이어야 한다. 이 방식은 클래스 계층구조에 커다란 혼란을 일으킨다. 새로 추가된 추상 클래스의 모든 자손이 이를 강제로 상속하게 되는 것이다.
- 인터페이스는믹스인 정의에 안성맞춤이다.
- 믹스인 : 클래스가 구현할 수 있는 타입으로, 믹스인을 구현한 클래스에 원래의 '주된 타입' 외에도 특정 선택적 행위를 제공한다고 선언하는 효과를 준다.
- 예시) Comparable은 자신을 구현한 클래스의 인스턴스들끼리는 순서를 정할 수 있다고 선언하는 믹스인 인터페이스
- 대상 타입의 주된 기능에 선택적 기능을 '혼합' 한다고 해서 믹스인이라 부른다.
- 반면, 추상 클래스로는 믹스인을 정의할 수 없다. 이유는 기존 클래스에 덧씌울 수 없기 때문이다.
- 믹스인 : 클래스가 구현할 수 있는 타입으로, 믹스인을 구현한 클래스에 원래의 '주된 타입' 외에도 특정 선택적 행위를 제공한다고 선언하는 효과를 준다.
- 인터페이스로는 계층구조가 없는 타입 프레임워크를 만들 수 있다.
- 타입을 계층적으로 정의하면 구조적 표현 등 이점이 있지만, 현실에는 계층을 엄격히 구분하기 어려운 개념도 있다.
- 래퍼 클래스 관용구와 함께 사용하면 인터페이스는 기능을 향상시키는 안전하고 강력한 수단이 된다.
- 인터페이스의 메서드 중 구현 방법이 명백한 것이 있다면, 그 구현을 디폴트 메서드로 제공해 프로그래머들의 일감을 덜어줄 수 있다.
- 인터페이스와 추상 골격 구현 클래스를 함께 제공하는 식으로 인터페이스와 추사 클래스의 장점을 모두 취하는 방법도 있다.
- 인터페이스로는 타입을 정의, 필요하면 디폴트 메서드 몇 개도 함께 제공
- 골격 구현 클래스는 나머지 메서드들까지 구현
- 골격 구현 클래스는 추상 클래스처럼 구현을 도와주는 동시에 추상 클래스로 타입을 정의할 때 따라오는 심각한 제약에서는 자유롭다.
- 구조상 골격 구현을 확장하지 못하는 처지라면 인터페이스를 직접 구현해야 한다.
- 또는 골격 구현 클래스를 우회적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클래스에서 해당 골격 구현을 확장한 private 내부 클래스를 정의
- 각 메서드 호출을 내부 클래스의 인스턴스에 전달 (simulated multiple inheritance)
- 다중 상속의 많은 장점을 제공하는 동시에 단점은 피하게 해줌.
- 골격 구현 작성
- 인터페이스를 잘 살펴 다른 메서드들의 구현에 사용되는 기반 메서드들을 선정
- 기반 메서드들을 사용해 직접 구현할 수 있는 메서드를 모두 디폴트 메서드로 제공한다. (equals, hashCode 등 Object의 메서드는 제외)
- 만약 인터페이스의 메서드 모두가 기반 or 디폴트 메서드라면 골격 구현 클래스를 별도로 만들 이유는 없다.
- 기반 or 디폴트로 만들지 못한 메서드를 골격 구현 클래스에 작성해 넣는다.
- 골격 구현 클래스에는 필요하면 public이 아닌 필드와 메서드를 추가해도 된다.
- 인터페이스에 정의한 디폴트 메서드든 별도의 추상 클래스든, 골격 구현은 반드시 그 동작 방식을 잘 정리해 문서로 남겨야 한다.
- 단순 구현은 골격 구현의 작은 변종으로 골격 구현과 같이 상속을 위해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것이지만 추상 클래스가 아니라는 점이 다른다. 필요에 맞게 확장해도 된다.
-
핵심 정리
-
일반적으로 다중 구현용 타입으로는 인터페이스가 가장 적합하다.
-
복잡한 인터페이스라면 구현하는 수고를 덜어주는 골격 구현을 함께 제공하는 방법을 꼭 고려해보자.
-
골격 구현은 '가능한 한' 인터페이스의 디폴트 메서드로 제공하여 그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모든 곳에서 활용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 '가능한 한' 이라고 한 이유는, 인터페이스에 걸려 있는 구현상의 제약 때문에 골격 구현을 추상 클래스로 제공하는 경우가 더 흔하기 때문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