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산배분 전략 (자산배분에 어떤 자산군을?) - penny4860/study-note GitHub Wiki

출처: 296. (초보) 자산배분에 어떤 자산군을?

1. 정리

요약

  • 자산군의 수익은 경제성장, 물가(금리)에 의해 결정된다.
  • 주식/채권 포트폴리오가 과거에 잘 동작한 이유는 1981년 이후로 물가가 지속적으로 하락했기 때문이다.
  • 앞으로도 물가가 하락한다는 보장이 없으므로 물가하락 시나리오에 대비해서 자산 배분을 해야한다.

질문

  • 시나리오별 자산군의 변화 사례를 조사해보자.
  • 시나리오별 자산군의 수익이 나는 이유를 추론해보자.

2. 내용

  • 자산군의 수익
    • 2가지 요소
      1. 경제성장
      2. 인플레이션 (물가==금리)
    • 2가지 요소가 "기대치"보다 높느냐, 낮느냐에 따라 자산군의 수익이 결정된다.
  • 4가지 시나리오
    1. 경제 +, 물가 +
      1. 개도국 주식
      2. 국제 부동산
      3. 금, 원자재
      4. 개도국 채권
      5. 물가연동채권
    2. 경제 -, 물가 +
      1. 개도국 채권
      2. 물가 연동채
      3. 현금
    3. 경제 +, 물가 -
      1. 선진국 주식
      2. 선진국 부동산
      3. 중기국채
      4. 선진국 회사채
    4. 경제 -, 물가 -
      1. 장기국채
      2. 현금
  • 주식, 채권 자산배분의 문제점
    • 1981 ~ 2019 구간에서는 물가(금리)가 지속적으로 하락했다.
    • 따라서 주식/채권 배분이 잘 작동했으나, 앞으로도 그런다는 보장이 없다.
    • 물가 상승 시나리오에 대비할 수 있는 자산을 확보해두어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