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이언트 임팩트 - modrpc/info GitHub Wiki
- 미국주도 고효율 세계의 탄생
- 1991년 소련 해체, 1989 일본 증시/부동산버블 붕괴 => 미국이 절대적인 패권국가로 자리매김
- 예전 대영제국과 유사한 globalization 추구
- 전 세계를 단일 경제 공동체로 묶어 미국의 자본/기업이 전 세계로 뻗어나가게 하려는 시도
- 지난 30년간 globalization 시대에 나타난 현상
-
물가안정: 인플레이션이 사라짐
-
임금안정: 중국 등 이머징마켓에서 유휴노동력 지속적 공급으로 장기호황에도 실질임금은 정체되거나 하락
-
저금리유지: 자본의 국경이 사라져 싼값에 자금 조달가능 -> 전세계적으로 금리가 낮게 유지
-
군비지출감소: 비효율적인 비용이 줄어듬
-
자원가격안정: 세계경제에 편입된 제3세계 국가에서 새로운 자원개발
- 그 결과 더 싼 에너지, 낮은 노동비용으로 생산비용 감소, 저금리
- 30여년간 세계 주가와 부동산 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
- 탈세계화 (deglobalization) 과 패권전쟁
- 중국의 일대일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 미국/서방진영 <-> 중국/러시아 진영
- 세계화로 가장 피해를 본 중산층이 세계화에 강력하게 반발
- 세계 금융당국의 목표: 고용안정, 물가안정
- 인플레이션: 통화량의 증가로 돈의 가치가 하락하고 물가가 전반적으로 꾸준히 오르는 현상
- 경기 과열시 인플레이션
- 경기 불황시 중앙은행이 과도하게 돈을 풀때 인플레이션
- 지난 30년간 연준이 돈을 아무리 풀어도 인플레이션이 오지 않는 특이한 현상
- 차라리 디플레이션을 걱정
- 자산가격의 급상승 - 부동산 케이스-실러지수 (부동산/물가 비율)은 305 (물가보다 집값이 3배 상승)
- 왜 인플레이션이 사라졌나?
- 선진국 고령화
- 기술혁신: 생산성향상 속도는 점점 더뎌짐
- 공장자동화:
⚠️ **GitHub.com Fallback**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