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주차_김민주_회고록 - hyeone999/Docs-JS_deepDive_Study GitHub Wiki
모던 자바스크립트 Deep Dive 책을 통해 자바스크립트를 공부하게 되었습니다. 전에 배웠지만 기억이 정말 하나도 나지 않아 이번 스터디를 통해 기초부터 차근차근 하나씩 쌓아가보려고 합니다. 프론트엔드 개발자로 진로를 정해 자바스크립트 공부를 열심히 하려고 생각합니다.
1주차 회고록
1. 변수
변수
메모리 공간 자체 or 식별하기 위해 붙인 이름
변수 선언
메모리 공간 확보, 변수 이름과 확보된 메모리 공간의 주소 연결
var, let, const
1. var 중복 선언O, 재할당O, 함수 레벨 스코프 2. let 중복 선언X, 재할당O, 블록 레벨 스코프 3. const 중복 선언X, 재할당X, 블록 레벨 스코프
2. 표현식과 문
표현식
값으로 평가될 수 있는 문
문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기본 단위이자 최소 실행 단위
3. 데이터 타입
원시타입
number, string, boolean, undefined,null, symbol
- number : 하나의 숫자 타입만 존재, 모든 수를 실수로 처리
- string: 변경 불가능한 값, 작은 따옴표(' '), 큰 따옴표(" "), 백틱(
- boolean: 논리적 참, 거짓을 나타내는 true와 false
- undefined: 변수 선언시 암묵적으로 초기화 되는 타입
- null: 값이 없음을 의도적으로 명시
- symbol: 변경 불가능한 원시 타입 값, 다른 값과 중복X
참조타입
object, array, function, class
스터디 후 느낀점
공부를 한 후 적는 개발 블로그나 회고록같이 문서로 작성하는 방법과 어떻게 하면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을지 더욱 더 고민해봐야겠다. 현재 나의 개발 블로그나 해당 회고록은 너무 줄글로만 적고 무엇이 중요한지를 아직 뚜렷하게 깨닫지 못했다. 이번 1주차 스터디를 하면서 '호이스팅'이라는 개념을 처음들었다. 처음 들었으면 더 관심을 갖고 찾아보고 공부해야되는데 그냥 호이스팅이 이거구나~ 라고 넘어가며 스터디원과 함께 발표를 하며 호이스팅이 무슨 개념이고 언제 쓰는지를 깨달았다. 스터디가 끝나고 이런식으로 가볍게 공부해서는 안되겠다 라는 생각이 들어 모르면 깊게 파고들며 공부해야겠다고 생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