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나 입자 - groun519/ManaField_wiki GitHub Wiki
Manon.
마나 입자.
마나 입자는 마나 장을 구성하는 가장 작은 단위이자, 모든 마법적 상호작용의 직접적인 매개체다.
현실의 물리학에서 전자, 광자, 글루온처럼 특정 힘을 전달하는 게이지 보손 또는 물질을 이루는 페르미온에 해당하는 개념이지만, 마나 입자는 물질성과 에너지성을 동시에 가진 하이브리드적 특성을 지닌다.
이 특성 덕분에 마나 입자는
- 에너지 전달(마법 발동)
- 정보 저장(마나 결정화 형태)
- 장 위상 변조(마나 흐름 제어) 모두 수행할 수 있다.
-
파동·입자 이중성
- 빛(광자)과 같이 파동과 입자 성질을 동시에 지님.
- 장에 따라 간섭·회절·포획 가능.
-
게이지 장 상호작용
- 마나 장의 위상 변화에 따라 경로와 속도가 변함.
- 특정 “마법 상호작용 보손” 역할 수행.
-
위상 민감성
- 미세한 위상 변화에도 반응, 특정 패턴을 따르는 흐름 형성 가능.
- 예: 주문 발성이나 마법진 형상이 위상 조절의 역할을 함.
속성 | 전자 | 광자 | 글루온 | 마나 입자 |
---|---|---|---|---|
질량 | 있음 | 없음 | 없음 | 가변적(장 상태에 따라 변함) |
전하 | -1e | 0 | 0 | “마전하” (가상의 상호작용 전하) |
역할 | 물질 구성 | 전자기력 전달 | 강력 상호작용 전달 | 마법적 상호작용·물질 구성 모두 가능 |
매질 의존성 | 없음 | 없음 | 없음 | 마나 장 밀도·위상에 강하게 의존 |
- 자연 발생: 마나 장의 양자 요동에 의해 생성·소멸.
- 인위 생성: 마법진, 시전자 의지, 기술 장치로 장을 국소 변동시켜 생성.
- 소멸 메커니즘: 다른 입자와 결합해 마나 결정화 형성 또는 열·빛으로 방출.
-
물질·에너지 전환 가능
- 장 위상 변화에 따라 에너지 상태 ↔ 물질 상태로 전환.
- 예: 마나를 ‘형태 있는 무기’로 구현.
-
정보 패턴화 가능
- 입자군 배열로 데이터 저장([마나 결정화]와 연계).
- 예: 특정 마법 패턴을 마나 입자 자체에 암호화.
-
상호작용 다중성
- 현실의 힘(중력·전자기력 등)과 독립된 “다섯 번째 힘” 매개 가능.
- 마법 발동 – 시전자 의지·마법진으로 입자 흐름 제어.
- 결정화 재료 – 마나 결정화의 기본 구성 요소.
- 마도공학 – 입자 패턴 변조로 마법 회로 제작.
- 장 조작 기술 – 마나 흐름·마나 장 강도 제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