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6일 데일리 & 회의 - gae-jang-mo/app GitHub Wiki
12/ 6 데일리 겸 회의
컨벤션
- 테스트 코드 작성할 때 너무 길다면, given when then을 주석으로 단다.
- ControllerAdvice 위치: 각 Controller 별로 위치
- (추후 개선점) Controller에서 공통적으로 발생하는 exception을 하나로 잡아서 처리해보자.
class ApiErrorResponse {
String message; //사람이 읽을 수 있는 간단한 에러에 대한 메세지
int status; // HTTP 응답 코드
String sourceUri; // 에러가 발생한 URI
}
에러 발생시 ApiErrorResponse만 내리고 추후에 ResponseEntity로 감쌀지 결정
- .expectStatus().isCreated() 붙이기
- if 문 안에 부정문 쓰지 않기
- (추후 개선점) 테스트 ContentType, Accept 타입들을 상수로 관리해보자.
- 단위테스트 인수테스트 폴더 분리 -> Ehem
- 도메인의 Exception, 서비스의 Exception 를 따로 분리해보자.
- 예외처리 방법: 예외 객체 자체를 넣자.
- logging aop Exception 던질 때 Throwable을 앞에 넣고 뒤에는 가변인자로 통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