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동안 배우는 리눅스 서버 관리 - eva-seulki/study-1 GitHub Wiki
- Day 1
-
서버 환경의 기초
-
네트워크 정의
- 정보통신 네트워크 : 이용자/어플리케이션에 가장 가까운 메일이나 www 등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 전송 네트워크 : 정보통신 네트워크의 정보통신을 도와주는 컴퓨터나 허브, 라우터 같은 통신기기
- 통신 회선 네트워크 : LAN, WAN, 통신사업자의 네트워크 서비스 등
-
정보통신 네트워크의 역사
- 1969 : Internet, Unix 시작
- 1980 : Internet과 Unix가 연계 시작
- 1982 : SUN-OS가 최초로 TCP/IP 탑재
- 1989 : Tim Berners-Lee, HTML 개발
- 1990 : 상용 인터넷 시작
- 1991 : Linux 시작
- 1992 : Marc Andreesen, NCSA 모자이크
- 1996 : ADSL
- 1997 : 무선 LAN
-
인터넷의 구성
- 계약된 ISP(Provider)의 네트워크를 거쳐 접속
- 각 도메인은 '라우터'를 통해 ISP에 접속
- 도메인에는 도메인 정보를 관리하는 여러 서버 시스템과 그 서버와 인터넷상의 각종 서버에 액세스하는 클라이언트 시스템이 있고, 허브나 케이블을 통해 서로 물리적/전기적으로 연결됨
-
인터넷 접속 방식
- 도메인형 : 도메인을 이용해 접속
- 비도메인형 : ISP에 가입하여 접속
- 도메인형 접속 시 서버의 위치
- 모든 서버를 로컬에 둠 : 상시 접속, 최소한 하나의 고정 글로벌 IP 요구됨. 보조 DNS 서버를 백업용으로 인터넷상의 다른 도메인에 설치
- 일부 서버만 LAN에 둠 : DNS 서버를 인터넷상에 두면 상시 접속, Dynamic DNS에 의해 동적 주소도 사용 가능
- LAN에 서버를 두지 않음 : 모두 호스팅 서비스 이용. SIP에 있는 DNS 서버가 접속 도메인에 글로벌 IP주소(고정/동적)를 배포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