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dis ‐ Redis 사용법 - dnwls16071/Backend_Study_TIL GitHub Wiki
📚 Redis 기본 명령어
- 데이터(Key, Value) 저장하기
$ set [KEY NAME] [VALUE]
- 데이터 조회하기
$ get [KEY NAME]
-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모든 키 조회하기
$ keys *
- 데이터 삭제하기
$ del [KEY NAME]
- 데이터 저장 시 만료시간(TTL, Time To Live) 정하기
❗레디스 만료시간(TTL) 주의사항
- 레디스는 RDBMS와는 달리 데이터 저장 시 만료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지 않고 일정 시간이 되면 데이터가 삭제되도록 세팅할 수 있다.
- 레디스의 특성상(=인메모리) 메모리 공간이 한정 되어 있기 때문에 모든 데이터를 레디스에 저장할 수 없다. 따라서 만료시간을 활용해 자주 사용하는 데이터만 레디스에 저장해놓고 쓰는 식으로 사용하는 것을 권장한다.
$ set [KEY NAME] [VALUE] ex [Seconds(만료 시간)]
- 만료시간(TTL) 확인하기
$ ttl [KEY NAME]
- 전체 데이터 삭제하기
$ flushall
📚 Redis Key 네이밍 컨벤션 익히기
- 콜론(:)을 활용해 계층적으로 의미를 구분해서 사용한다.
users:100:profile : 사용자들 중에서 PK가 100인 사용자의 프로필
products:123:details : 상품들 중에서 PK가 123인 상품의 세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