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cal https 환경설정 - dltmdrbtjd/HANG GitHub Wiki
local 환경 https로 설정하기
이번 프로젝트의 로그인 구현을 Set_cookie 방식으로 진행하였는데, 구글의 SameSite 설정이 Lax로 변경되면서 cross origin에서 HTTP 통신은 가능하지만 cookie를 전달받아 브라우저에 저장하지 못하게 되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선 SameSite 설정을 none으로 바꾸고 HTTPS 연결이 필요함을 나타내는 Secure 특성을 태깅해야 하기 때문에 로컬 환경을 https로 설정해야 했습니다.
1. 윈도우 패키지 관리자 chocolatey 설치하기
우선 위 사이트에 접속해 install command를 복사합니다.
PowerShell을 관리자 모드로 실행하고 복사한 텍스트를 붙여넣습니다.
설치가 완료되면 설치 확인을 위해 버전을 한번 체크해봅니다.
choco -v
2. mkcert 설치하기
PowerShell에 다음 코드를 입력합니다.
choco install mkcert
3. SSL 인증서 생성하기
mkcert 설치 완료 후 PowerShell에 아래와 같이 입력합니다.
mkcert -install
mkcert localhost 127.0.0.1 ::1
위 명령어를 실행하면 .pem 확장자의 파일이 두개 생성됩니다. 하나는 인증서 파일이고 하나는 인증서 키 파일입니다.
4. SSL 인증서 가져오기
방금 생성한 인증서의 경로로 이동해 두 파일을 복사합니다. 그리고 https로 설정할 파일의 루트 경로에 붙여 넣습니다.
5. 실행 환경 설정
같은 루트 경로에 .env 파일을 생성한 후 아래와 같이 입력합니다.
HTTPS=true
SSL_CRT_FILE=[내 인증서 파일]
SSL_KEY_FILE=[인증서 키]
6. 확인하기
위와 같이 url바 옆에 자물쇠 아이콘이 뜨는지 확인합니다.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