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주차_참고 : IP 주소 - dhryu60/SmartDevice_2025-1 GitHub Wiki

IP 주소란 무엇인가요?

  • IP 주소 (Internet Protocol Address):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기기(컴퓨터, 스마트폰 등)를 식별하기 위한 고유 주소입니다.
  • 인터넷의 "주소" 역할: 사람이 사는 집마다 주소가 있는 것처럼,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기기에도 주소가 필요합니다.

IP 주소의 구성

  • IP 주소는 숫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IPv4IPv6 두 가지 형식이 있습니다.

    IPv4 예시: 192.168.0.1 (4개의 숫자 그룹, 각각 0부터 255 사이의 숫자)

    IPv6 예시: 2001:0db8:85a3:0000:0000:8a2e:0370:7334 (16진수로 된 8개의 그룹)

IP 주소의 종류

  1. 공인 IP 주소 (Public IP Address):

    •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ISP)가 부여하는 주소로, 전 세계적으로 고유합니다.
    • 인터넷 상에서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사설 IP 주소 (Private IP Address):

    • 가정이나 회사 등 특정 네트워크 내부에서 사용하는 주소로, 외부에서는 접근할 수 없습니다.
    • 예시: 192.168.x.x, 10.x.x.x

IP 주소의 역할

  • 데이터 전송: IP 주소를 통해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올바른 장치로 전송할 수 있습니다.
  • 기기 식별: IP 주소는 특정 기기를 식별하는 역할을 합니다.

IP 주소의 변천사: IPv4에서 IPv6로

  • IPv4 문제: 32비트 길이로, 주소가 약 43억 개 정도로 한정되어 있어, 인터넷에 연결되는 기기가 많아지며 주소가 부족해졌습니다.
  • IPv6 해결: 128비트 길이로, 거의 무한에 가까운 주소 제공이 가능해졌습니다.

IP 주소 확인 방법

  1. 윈도우에서 확인: 명령 프롬프트에서 ipconfig 명령어 입력
  2. 맥에서 확인: 터미널에서 ifconfig 명령어 입력
  3. 웹사이트 사용: 예를 들어, whatismyip.com에서 현재 기기의 공인 IP 확인 가능

요약

  • IP 주소는 인터넷에서 기기를 식별하고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주소"입니다.
  • 공인 IP와 사설 IP가 있으며, IPv4와 IPv6가 존재합니다.
  • 기기의 IP 주소는 운영 체제의 설정 메뉴나 명령어, 웹사이트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공인 IP와 사설 IP


공인 IP (Public IP)

  • 인터넷의 집 주소 같은 것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 전 세계 어디서든 고유하게 할당된 주소로, 인터넷에 직접 연결되는 기기나 네트워크에 부여됩니다.
  • 예를 들어, 누군가가 웹사이트를 보거나 이메일을 보내려면 이 공인 IP 주소가 필요합니다.
  • 예시: 친구에게 편지를 보낼 때, 정확한 집 주소가 필요하듯이, 인터넷에서도 각 기기가 공인 IP 주소를 통해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습니다.

사설 IP (Private IP)

  • 집안의 방 번호처럼 생각하면 됩니다.
  • 집 안이나 회사 안에서만 사용하는 주소로, 외부 인터넷에서는 이 주소를 알 수 없습니다.
  • 같은 사설 IP 주소라도 다른 네트워크(예: 집과 회사)에서는 충돌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예시: 가족끼리 방에서 방으로 전화를 걸 때는 사설 번호를 쓰는 것처럼, 집 안이나 회사 내부에서만 사용되므로 외부에서 접근할 수 없습니다.

왜 둘 다 필요한가요?

  • 공인 IP는 전 세계적으로 고유해야 하므로, 모든 기기에 공인 IP를 부여하면 주소가 부족해질 수 있습니다.
  • 사설 IP는 내부 네트워크에서 자유롭게 재사용할 수 있어 공인 IP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

요약하자면:

  • 공인 IP: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고유 주소로, 외부와의 통신에 필요합니다.
  • 사설 IP: 내부 네트워크에서 사용하는 주소로, 외부에서 접근할 수 없습니다.

###고정 IP와 유동 IP


고정 IP (Static IP)

  • 변하지 않는 주소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 한 번 할당되면 계속 같은 IP 주소를 유지합니다.
  • 서버나 CCTV, 원격 연결이 필요한 장비처럼 항상 같은 주소로 접근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주로 사용됩니다.
  • 예시: 마치 가게의 고정된 위치처럼, 가게가 계속 그 자리에 있으니 사람들이 찾기 쉬운 것과 비슷합니다.

유동 IP (Dynamic IP)

  • 변할 수 있는 주소입니다.
  • 매번 인터넷에 연결할 때마다 새로운 IP 주소가 할당될 수 있습니다.
  • 일반 사용자에게 주로 할당되며, ISP(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에서 자동으로 주소를 배정하고 관리합니다.
  • 예시: 휴대전화 번호가 바뀌는 것과는 다르지만, 매번 인터넷에 접속할 때마다 다른 임시 번호를 받는다고 생각하면 쉽습니다.

왜 둘 다 필요한가요?

  • 고정 IP는 항상 동일한 IP 주소가 필요할 때 유용하지만, 비용이 더 많이 들고 관리가 필요합니다.
  • 유동 IP는 비용이 적게 들고, 대부분의 일반 사용자가 필요할 때마다 새로운 주소를 할당받는 방식으로 효율적입니다.

요약하자면:

  • 고정 IP: 항상 같은 IP 주소를 유지해, 특정 장비나 서비스를 찾기 쉬움.
  • 유동 IP: 접속할 때마다 달라지며, 일반적인 인터넷 사용자에게 주로 사용됨.

✅ IP 주소 구분표 (한눈에 보기)

구분 공인 IP (Public IP) 사설 IP (Private IP) 고정 IP (Static IP) 유동 IP (Dynamic IP)
사용 위치 인터넷 전용 (외부 공개) 내부 네트워크 전용 (집/회사) 공인/사설 둘 다 가능 공인/사설 둘 다 가능
중복 여부 전 세계에서 중복 불가 (고유) 네트워크 내부에서만 중복 없이 사용 가능 고정된 IP로 절대 안 변함 인터넷 접속할 때마다 바뀜
주소 예시 8.8.8.8 (Google DNS) 192.168.x.x / 10.x.x.x 123.45.67.89 (고정) 123.45.67.132 → 나중엔 바뀜
외부 접속 외부에서 접속 가능 외부에서 직접 접속 불가 언제나 같은 주소로 접속 가능 접속 주소가 바뀔 수 있어 불편함
사용 예 웹서버, 이메일 서버 등 가정용 Wi-Fi, 내부 프린터 등 CCTV, 서버, 원격접속 필요 장비 일반 가정용 인터넷 대부분

🧠 쉽게 이해하는 핵심 포인트

① 공인 IP vs 사설 IP (📍 위치 개념)

  • 공인 IP: 전 세계에서 하나뿐인 "집 주소" — 인터넷 전체에서 유일.
  • 사설 IP: 집안의 "방 번호" — 같은 번호라도 다른 집(네트워크)에서는 문제 없음.

👉 공인 IP는 외부에서 접근 가능하지만, 사설 IP는 내부에서만 사용됨.


② 고정 IP vs 유동 IP (🔁 바뀌는지 여부)

  • 고정 IP: 항상 변하지 않는 주소. 특정 장비를 지속적으로 외부에서 접속해야 할 때 필수.
  • 유동 IP: 매번 바뀌는 주소. 일반 가정이나 회사에서는 유동 IP가 기본.

👉 고정/유동은 ‘주소가 바뀌는지 여부’에 대한 개념이고, 공인/사설과 조합될 수 있음.

예시:

조합 설명
공인 + 고정 IP 서버 운영자, CCTV 등 원격접속 필요 시
공인 + 유동 IP 일반 가정 인터넷 (KT, SK, LG 등에서 제공)
사설 + 고정 IP 내부 네트워크에서 고정 장치 주소 지정 시
사설 + 유동 IP 공유기에서 자동으로 할당하는 IP (기본 설정)

🧩 요약 문장으로 정리!

인터넷에 연결하려면 공인 IP가 필요하고,
내부 네트워크에서만 쓸 거면 사설 IP면 충분하다.
주소가 바뀌지 않길 원하면 고정 IP를 쓰고,
그냥 인터넷만 쓰면 유동 IP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