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주차_참고 : 사설 IP 영역에서 서버 운영 - dhryu60/SmartDevice_2025-1 GitHub Wiki
📌 먼저, 사설 IP 영역에서 서버를 외부에서 접근 가능하게 하려면 보통 이런 4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번호 |
방법 |
설명 |
1 |
포트 포워딩 |
공유기 설정에서 외부에서 특정 포트로 들어온 요청을 사설 IP의 서버로 전달 |
2 |
DDNS + 포트 포워딩 |
유동 공인 IP를 도메인 주소로 연결 + 포트 포워딩 |
3 |
VPN 서버 구성 |
외부에서 내부 네트워크에 안전하게 접속해서 마치 내부처럼 서버에 접근 |
4 |
터널링 서비스 (예: Ngrok) |
별도 설정 없이 외부 접근 가능하게 해주는 클라우드 중계형 터널링 방식 |
✅ 결론
👉 Ngrok은 제4번, ‘터널링 서비스’에 해당합니다.
🔧 이유:
- Ngrok은 로컬 서버가 사설 IP 영역에 있어도, 외부에서 접근할 수 있게 중간에 있는 Ngrok 서버가 중계 역할을 해줍니다.
- 공유기 설정이나 포트 포워딩 없이도 동작함!
- 로컬에서 실행한 서버(
localhost:포트번호
)를 Ngrok이 외부 URL로 연결시켜 줌.
🧠 쉽게 이해하는 예시
- 📦 내 방 안에서 박스(서버)를 만들었는데,
- 🚪 현관문(공유기)은 잠겨 있고 주소도 없어 외부 사람이 못 들어옴.
- 🛵 Ngrok이 대신 나가서 "이 박스 보러올 사람 여기로 와요!" 하고 중간에서 안내하고 배달까지 해주는 역할.
📜 요약 정리
구분 |
Ngrok |
사설 IP에서 외부 접근 가능하게 해줌? |
✅ 가능 |
공유기 설정(포트포워딩) 필요? |
❌ 불필요 |
외부 접근 주소 제공? |
✅ 예 (예: https://abcd1234.ngrok.io ) |
속도, 연결 유지 |
💡 제한적 (무료 버전은 일정 시간 후 끊김 등 제약 있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