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주차_참고 : IoT 클라우드 서비스 개요 및 주요 플랫폼 소개 - dhryu60/SmartDevice_2025-1 GitHub Wiki
IoT 클라우드 서비스 개요 및 주요 플랫폼 소개
1. IoT 클라우드 서비스의 필요성
IoT(Internet of Things) 기술은 다양한 디바이스가 센서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처리 및 분석하여 효율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입니다. IoT 클라우드 서비스는 이 과정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 인프라입니다.
필요성 요약
-
데이터 수집 및 저장 수백만 개의 센서·디바이스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수집하고 안정적으로 저장
-
실시간 처리 및 제어 원격지에서 장치를 모니터링하고 실시간으로 제어 가능
-
확장성 확보 수십, 수백 개 이상의 디바이스도 수용 가능한 유연한 아키텍처
-
보안 및 관리 인증, 암호화, 사용자 접근 제어 등의 보안 기능을 제공
-
AI 및 분석 연계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머신러닝 분석 및 자동화 가능
2. 시장 동향 및 전망
구분 | 내용 |
---|---|
시장 성장률 | IoT 플랫폼 시장은 연평균 25% 이상 성장 중 (2024 기준) |
주요 분야 | 스마트 팩토리, 스마트홈, 커넥티드카, 헬스케어, 에너지 |
기술 트렌드 | 엣지 컴퓨팅 결합, AI 연동, 보안 강화, 오픈소스 플랫폼 확산 |
주요 이슈 | 개인정보보호, 네트워크 장애 시 대응, 데이터 표준화 |
3. 주요 글로벌 IoT 클라우드 플랫폼
1) AWS IoT Core (Amazon Web Services)
- MQTT, HTTP, WebSocket 지원
- Lambda와 연동하여 이벤트 기반 처리
- 다양한 보안 정책과 디바이스 인증
- 장점: 높은 확장성, 엔터프라이즈 수준의 안정성
2) Google Cloud IoT
- Google Cloud Pub/Sub, BigQuery, AI 연동 가능
- IoT Core 서비스로 디바이스 관리 및 데이터 흐름 처리
- 장점: GCP 기반 분석 도구와 자연스러운 통합
3) Microsoft Azure IoT Hub
- 장치 등록, 인증, 메시지 처리 기능 제공
- Azure Digital Twins, Time Series Insights 등과 통합
- 장점: 산업용 IoT에 특화된 서비스 확장성 보유
4. 주요 오픈소스/경량형 IoT 플랫폼
1) ThingsBoard
- 오픈소스 IoT 플랫폼 (Apache License)
- 대시보드 기반 시각화, 규칙 엔진, MQTT 및 CoAP 지원
- 자체 서버 구축 가능
2) Node-RED + MQTT 브로커 (Mosquitto)
- 브라우저 기반 시각적 프로그래밍 툴
- 간단한 IoT 워크플로우 구축에 적합
- 초경량, 교육용 및 프로토타입에 이상적
5. 국내 주요 IoT 클라우드 서비스
1) KT GiGA IoT 플랫폼
- KT에서 제공하는 통합 IoT 플랫폼
- 통신 모듈, 디바이스 관리, API 연동 서비스 제공
- 스마트팩토리, 스마트시티 솔루션 등에서 활용
2) SKT ThingPlug
- SKT의 IoT 전용 플랫폼 (OneM2M 기반)
- 다양한 센서 디바이스 연동 및 대규모 데이터 수집 처리
- 공공/산업 분야에 적용 사례 존재
※ LG U+는 자체 IoT 플랫폼보다는 NB-IoT 등의 네트워크 기반 서비스 제공에 집중
6. 아두이노 클라우드의 위치와 한계
-
특징
- 간단한 웹 기반 설정
- 센서 데이터 시각화 위젯 제공
- 무료 요금제로 소규모 실습과 교육에 적합
-
한계
- 상업용 대규모 서비스 구축에는 부적합
- 사용자 정의 확장성 및 백엔드 연동 기능 부족
7. 정리 및 비교
항목 | 대기업형 | 오픈소스형 | 아두이노 클라우드 |
---|---|---|---|
대표 예시 | AWS IoT, Azure IoT | ThingsBoard, Node-RED | Arduino Cloud |
확장성 | 매우 높음 | 중간~높음 | 낮음 |
사용 편의성 | 중간 | 중간~어려움 | 매우 쉬움 |
교육용 적합도 | 낮음 | 중간 | 매우 높음 |
상용 서비스 적합도 | 매우 높음 | 중간 | 낮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