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능테스트 케이스 - depromeet/Took-BE GitHub Wiki
우려 포인트
1. 요금 부과
성능테스트를 위해서는 보통 부하를 발생시키는 서버가 필요
→ 그런데 로컬이나 프리티어로 해봤을 땐 한계가 컸음
→ 그래서 부하 서버 인스턴스 유형을 높여야 하는데 여기서 요금이 발생함
2. prod 서버 장애 가능성
prod 서버에 부하를 주면 괜한 장애를 불러오지 않을까 싶음
→ 특히 런칭데이 전이라면 더더욱 지양해야 한다고 생각
→ 만약 prod 서버에서 하게 된다면 런칭데이 이후에 하는 게 어떨까? 하는 생각!
테스트 케이스
1. 명함 생성
- 한 번에 여러 명이 명함을 생성할 때 성능 확인
- 시나리오
- 100명의 사용자가 동시에 명함 생성
- 데이터베이스 부하와 응답 속도 측정
2. 명함 조회
- 여러 사용자가 명함을 조회할 때 API 응답 속도 및 안정성 확인
- 시나리오
- 1000명의 사용자가 동시에 한 명함 조회 및 받음(receive)
- 트래픽 급증 시 서버 응답 속도 및 오류율 측정
3. 대량 트래픽
- 동시접속 200명 기준 (런칭데이 기준)
- 시나리오
- 동시접속 200명 5분간 점진적 부하
- 서버 부하, 응답 속도, 오류율 측정
+) 크롤링도 해보고 싶지만…
확인할 메트릭
TPS, API latency, 에러율 등
조정할 수치
톰캣 스레드풀, 데이터베이스 커넥션풀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