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PR 협업룰 - choigiseong/baseball GitHub Wiki
Rules
1. Branch Rules
branch 만들 때 team16 > dev > BE > feature_BE/XXX (feature 브랜치 이름 - feature_BE/IssueNum)
FE > feature_FE/XXX (feature 브랜치 이름 - feature_FE/IssueNum)
2. Commit Message Rules
- feat : 새로운 기능 추가
- fix : 버그 수정
- docs : 문서의 수정
- style : (코드의 수정 없이) 스타일(style)만 변경(들여쓰기 같은 포맷이나 세미콜론을 빼먹은 경우)
- refactor : 코드를 리펙토링
- test : Test 관련한 코드의 추가, 수정
- chore : (코드의 수정 없이) 설정을 변경
- 예시
feat: 헤더 컴포넌트 완성
docs: README.md 파일 일부 수정
3. Code Review Rules (분업 시, PR 날릴 때 참고!)
-
저장소 내에서 PR 날리고, 서로 코드리뷰를 할 때 궁금한 부분이 있다면 해당 부분 선택하여 질문 남기기.
- 이 경우 코멘트 태그는
P5
그게 아니더라도 다양하게 써도 됌!
- 이 경우 코멘트 태그는
-
어떤 부분이 이상하다면, 아래 코멘트 태그를 붙이며 이유를 말해주기!
리뷰어가 썼던 코멘트
P1 : 꼭 반영해주세요 (Request changes)
P2 : 적극적으로 고려해주세요 (Request changes)
P3 : 웬만하면 반영해주세요 (Comment)
P4 : 반영해도 좋고 넘어가도 좋습니다 (Approve)
P5 : 그냥 사소한 의견입니다. (Approve)
4. Projects, Milestone, Issues
-
Projects
- 프로젝트는
FE
,BE
모두 한 공간에서 사용!- 현재 Projects는 CPR 야구게임이라는 이름으로 생성되어 있음
- To do 부분에는 작성했던 Issues들이 있을 것.
- 작업 시작할 때 In Progress 로 드래그해놓기!
- 프로젝트는
-
Milestone
- 마일스톤은 어떠한 작업을 시작할 때 꼭 만들기!! (Issue 만들기 전에!)
- 예시
- 헤더를 만들려한다. ▶
[FE] 헤더 만들기
라는 이름으로 마일스톤 생성 - Due date는 설정해도 안해도 됨!! (일종의 데드라인 정해놓는 것!)
- 진행상황 보면서 데드라인 정할 수도 있음!
- 헤더를 만들려한다. ▶
-
Issues
- Issue를 만들 때는 어떠한 Milestone에 포함되어야 함. (위 과정에 써있듯, Milestone을 만들고 작업)
- 예시 (위 Milestone 예시와 이어짐)
- 헤더 관련한 Milestone을 만들었다.
- Issues 탭으로 이동하여
New issue
를 클릭하여 이슈를 발행 - Issue의 Nav (우측의 기타 설정들!)
- Assignees: 작업을 처리할 사람 (담당자)
- Labels: 눈에 명확하게 보이는 라벨 설정 (라벨)
FE
BE
bug
등 다양한 라벨이 있음! 해당하는 것 등록해주기!
- Projects: 프로젝트, 현재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 선택!
- 여기서 Projects를 선택해주면, 해당 Projects의 To do 구역으로 넣어짐!
- Milestone: 마일스톤, 마지막으로 위에서 만든 Milestone을 등록해줌!
- Issue의 내용을 작성할 때엔 가급적으로
체크박스
를 사용해주세요!! (제일 작은 단위를 뜻함!)- 마크다운 문법의 체크박스!
- [ ] 난 체크안된 체크박스야!! - [X] 난 체크된 체크박스!!
- 마크다운 문법의 체크박스!
-
Milestone, Issues, checkboxs..?
- 간단하게 보면 제일 큰 틀은 Milestone
- 다음은 Issues
- 마지막은 Issue안의 checkboxs
5. 이미지로 보는 설명
브랜치 규칙
프로젝트 관리 (Milestone, Issues, checkbox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