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풀스택 개발자를 위한 스터터 템플리트가 필요한가 - arkwith7/arkwith-app-template GitHub Wiki
최근 많은 개발자들은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 적용과 머신러닝을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개발 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개발에 있어서도 도처에 널려 있는 정보를 수집 분석하여야 하고, 이런 과정을 거쳐서 비로서 고객에게 가치있는 지식과 정보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작성 할 수 있고,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제공하려면 다양하고 복잡한 기술을 이용하여 결과를 보여 주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하게 되었다.
과거에는 엔터프라이즈 아키텍처로 Java와 .Net 그리고 Database, Web Application server와 같은 주요 구성품을 위주로 한 특정 선도업체가 주도하는 개발환경 생태계 였다. 그러나 지금은 오픈소스 대표주자인 리눅스를 필두로 하여 node.js, python, react등과 같은 오픈소스 중심의 생태계로 변경 되었다. 개발 기술 선택의 다양성은 늘어난 대신 어떤것을 선택해야 좋은지에 대해 변별력에 필요한 지식의 양은 증가되고 복잡하여 짐에 띠라 적절한 기술의 선정 및 이를 이용한 개발은 더욱더 어려워 지고 있다.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있어 중요한 것은 해결해야하는 문제 영역의 대상 도메인에 대하여 채택하여 적용하려고 하는 기술 아키텍쳐 및 개발 언어가 데모 애플리케이션 개발이 용이하고 대상 도메인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개발이 가능하며, 또한 향후 운영에 있어서도 문제가 없을 지를 비교적 빠른 시간안에 신속히 판단해 볼 수 있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채택하고 적용할 개발 기술이 재사용성이 좋고 개발생산성이 높아 고객에게 서비스 가능하기까지 개발소요 시간이 최소한으로 단축 될 수 있으면 더욱더 좋을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최적의 방법이 무엇인지에 대한 대안의 제시가 필요할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