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더링 - Yunjong-Lee/WiKi GitHub Wiki

디더링이란

  • 디지털 오디오 프로세스의 마지막 단계의 작업으로, 오디오 파일에 디지털 노이즈를 의도적으로 추가하는 것을 말한다.
    :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신호를 변환할 때 양자화 과정을 수행하는데, 양자화 과정에서 규칙적인 잡음이 생기며 이를 양자화 노이즈라고 한다.

    : 이런 규칙적인 노이즈는 듣기에 거슬리기 때문에 랜덤한 신호를 포함시켜 규칙적인 노이즈를 줄여준다.

  • 높은 비트 심도의 샘플에서 더 낮은 비트 심도의 믹스를 추출할 때 양자화 노이즈나 아티팩트를 줄이는 데 사용

    • 비트 심도(Bit-Depth)란:
      -. 디지털 오디오의 경우, 아날로스 오디오 신호의 진폭을 재현하는 데 사용되는 샘플의 비트 수를 나타내는데, PCM을 이용하여 ADC를 진행할 경우 비트 심도, 샘플레이트, 비트 전송률과 같은 인자들의 영향을 받는다.
  • 비트 심도가 높을수록

    • 파일 크기가 커진다.

    • 다이나믹 레인지가 넓어진다.

    • 노이즈 플로어를 최소화하거나 신호 대 잡음비 (SNR)가 높아져 샘플이 더 선명해집니다.
      : 16비트 오디오의 노이즈 플로어는 -96dB 정도 (CD 표준)
      : 24비트 오디오의 노이즈 플로어는 -144dB 정도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됨)

    • 음질이 향상된다.

    • 비트 수가 많을수록 비트 심도가 높아지면 샘플의 디테일이 향상되고 양자화 노이즈도 감소할 수 있다.

  • 비트 심도 결정

    : 대부분의 최신 음악 프로듀서는 24비트에서 약 48kHz의 샘플 레이트를 선택한다. 비트 심도 16은 엔지니어의 표준(CD에서 정확하게 재생할 수 있는 심도이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 스트리밍 서비스와 iTunes, DVD와 같은 플랫폼은 24비트를 지원 -. 스트리밍 서비스에서도 오디오 압축이 이용되므로 '디더링' 등의 옵션이 필요해지고 있음.
    : 32비트 및 64비트 심도와 같은 큰 비트 심도가 존재하지만, -. 이 형식은 파일 크기가 크고 -. 인간의 청각의 한계로 인해 24비트 심도로 샘플링된 오디오와 비교해 보면, 차이를 느끼기 어렵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는다.

    ※ 샘플레이트와 비트 심도의 차이

    • 샘플 레이트는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변환할 때 얼마나 많은 양의 데이터를 표본으로 만들것인지를 결정하는 인자이고,
    • 비트 심도는 하나의 샘플이 얼마나 많은 단계로 세분화 되는지를 결정하는 인자임.

※ 영상에서 비트 심도란, 한 픽셀의 각 색상 채널에 사용되는 비트의 개수를 의미하는데 이것은 영상이 표현 가능한 색상 수를 결정(일반적인 영상들은 8bit 이하의 심도를 가짐)
(원문 : Image bit depth refers to the number of bits used for each color channel of a pixel in an image, which determines how many colors the image can represent)

ㅁ 좌측이 1_bit, 중앙이 8_bit, 우측이 24_bit color 심도를 가지는 이미지의 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