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주차 그룹 회고 - Team-HGD/SniffMEET GitHub Wiki

Keep

좋았던 점을 기반으로 도출되며 앞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계속 유지해야할 사항

  • 진원님이 없어서 아쉬웠지만 대면으로 만나서 코딩하는 거 좋았어용 (담엔 함께하기로 …)
  • 오프라인 꿀맛같았당
  • 이번주 STS에서 발표한 내용 알찼던거 같아요 (인정입니다. )
  • PR 관련 노티가 슬랙에 오니까 훨씬 빠르게 작업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이 좋았다. bb
    • 리뷰 시간도 오는게 좋았습니다 도입 잘한거 같아요
    • 인정합니다! 회고 알림도 조아요 저는 작성 횟수 늘었습니당 근데 다른분들은 줄어든것도..같고? (어찌된 영문한문인지!)
      • ㅋㅋㅋㅋㅋㅋ 맞아요 몇 분 줄어드셨어요 (물귀신)

Problem

아쉬웠던 점을 기반으로 도출되며 앞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개선되어야 할 사항. 일어난 사건 자체 뿐만 아니라 좋았거나 나빴던 일에 이르는 과정에 대해 쓰는 것이 좋다.

  • 트러블 슈팅 문서를 내가 쓰지 못했다 ㅠㅠ (저번주에 트러블 슈팅 문서에 힘쓰기로 했는데 지켜지지 못한 듯)
    • 마찬가지로 MPC, NBI도 트러블 슈팅할때 한사람에 몰린 느낌이 좀 있던거 같아요…
  • 뭔가 테스트를 잘 하지 못해서 dev에 머지된 이후에 고치는 경우가 많은 것 같다. 테스트 열심히 하겠습니다.
  • 작업 속도 내가 느리다… 아니 제가 느려요..
  • 서버를 한 사람이 맡고 있다보니 많은 책임을 맡고 있었다. 의존하는 게 많아서 같이 하는걸 고려해봐야겠다 헉! 헉쓰바리 허거덩 허거덩덩덩 허거덩더쿵덕
    • 다 끝났어요…(거의)
    • Storage는 같이 하는게 좋을거 같습니다(이미지 저장)
    • 맞아요 테이블 구조 설계는 같이 빨리 빨리 해보죠 ( 성격 급한 제가 돕겠습니다. 작업 속도율 30% 향상, 정확도 30% 하락) ㅋㅋ
  • 다른 분들이 진행한 내용 이해하는데 오래걸리고 있다. 주말에 보충 필요해보인다.
  • PR 크기가 너무 크다
    • 뷰라고 하더라도 디자인과 VIPER를 분리하던가 별도의 기준이 필요할 듯 싶다.
  • 작업을 우선순위대로 진행할 필요가 있다. 이제…. 6주는 리팩토링, 테스트여서 한주만 작업할 수 있는데 하나의 작업 단위에 대해서 ‘완수 기준’이 없다보니 개개인이 보는 완성의 기준이 달라서 생기는 일 같기도 합니다.
  • 백로그 관리도 좀 더 잘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오늘 발표때 나온 버그 트리아지는 왜 질문했는지 답변을 못받았어요)

Try

도출된 problem의 원인을 파악하여 이를 기반으로 어떠한 시도들을 해볼 수 있는지에 대한 내용. Try을 고려할 때 포인트는 구체적인 액션에까지 구체화 시키는 것이 중요

진원님 포함한 오프라인 (6주차~) 굿

트러블슈팅, 작업일지 작성 룰

  • 주 2회 의무 작성 (월 00시 00분 - 일 23시 59분 59초까지)
  • 오프라인 만남 때 횟수 가장 적으면 커피사기 (저가 커피 기준)

테스트

  • 2번 이상 로컬에서 빌드테스트
  • 충돌났을 때 dev 브랜치 머지 → 로컬 테스트 동작 확인 후 머지

작업 속도

  • 데드라인을 확실하게 가져가자 → 안되면 도움 요청 무조건
  • 데일리 스크럼 때 모더레이터가 확인

다른 분들의 작업을 이해하는 데 시간이 걸린다.

  • PR 컨벤션을 더 정하자
  • 질문을 더 하자
  • 작업 일지를 작성하자

왕PR 문제

  • 정말 View(UI)만 / Viper 템플릿 작업 / 실제 연결 로직 작업 이런식으로 좀 쪼개보면 어떨까요
  • Draft PR

완수 기준의 차이

  • 팀 내 완수기준을 정하자
  • 무조건 완수 기준 충족하면 PR을 올리자
  • 완수 기준 외에 대한 처리는 새로 이슈를 파서 새 PR로 분리하자
  • 한나절 지나면 GG

백로그

  • 버그 트리아지 유지!

코드리뷰 시간

  • 끝나는 시간을 잘 준수하자
⚠️ **GitHub.com Fallback**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