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05.2024) CICD 자동화 회의 - Team-HGD/SniffMEET GitHub Wiki
현진
- 특정 브랜치에 push/merge 하면 배포 작업 수행을 자동화
- OTA 방식으로 배포
- 설치 링크 관리 - dropbox?
- 슬랙에 배포 메세지 전송
-
OTA Installation
- TestFlight에 등록하고 실행 가능한 파일 업로드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좀 더 구체화되어 있지만, 우리는 OTA 방식을 사용해야 한다. 관련한 자동화 방식은 어떤 흐름일까?
- Marketplace에서 OTA Release에 관한 actions 존재함을 확인 이 내용 이용하면 되지 않을까.. https://github.com/marketplace/actions/create-ota-release
- https://maaani.tistory.com/167
-
방법 (Runner는 Github Actions의 가상머신 인스턴스)
- Github Actions에서 workflow 생성 → main 브랜치에 yml 파일 생성
- yml 파일에 Workflow 이름 추가
name: WorkflowName
- Trigger 지정 → ‘on’ Runner가 workflow를 실행하도록 트리거 설정
// 해당 브랜치에 코드가 추시될 때 트리거 작동 // 여러 브랜치를 추가하고 싶다면 콤마(,)로 연결 on: push: branches: ["브랜치명"] // 만약 PR 트리거 만들고 싶다면 pull_request: branches: ["브랜치명"]
- 실질적 작업 → ‘jobs’ Workflow는 1개 이상의 jobs들로 구성되어야 함 각각의 jobs들은 steps라는 이름의 태스크들로 구성 ’name’에 지정한 이름 Github Actions의 workflow 페이지에서 확인 가능
jobs: build: name: Build ~~ runs-on: 가상머신 OS 버전 steps: - name: uses: - name: uses: Marketplace에 호시팅된 액션 참조 with: 액션 사용시 필요한 추가 매개변수
- 암복호화 (미쳐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