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즈크래프트 - GAME-CLI-SRV-DEV/GCSD-Discussions GitHub Wiki
정보 | 정보 |
---|---|
서버 이름 | 이즈크래프트 |
서버 아이피 | iscraft.iptime.org |
개설 | 2014년 |
서비스 종료 | 2017년 2월 19일 운영사 이즈크래프트가 2016년 12월 31일 폐업하여 서버 종료. |
소유 | 이즈크래프트(2014.3.1-2016.12.31) |
운영 | 이즈크래프트(2014.3.1-2016.12.31) |
서버 대표 | GM_BONO |
정보 | 정보 |
---|---|
이름 | 이즈크래프트 |
등록번호 | 620-29-00090 |
대표 | GM_BONO |
설립 | 2014년 2월 28일 |
해체 | 2016년 12월 31일 폐업 |
2017년 서비스 종료 및 폐업한 마인크래프트 서버. 이즈크래프트에서 운영했다.
2014년 2월 28일-6월 20일(초창기)
2월 28일, 서버 카페가 개설되었다.
3월 1일, 퍼스트 아일랜드 서버가 열렸다.
4월 20일, 공식 홈페이지가 생겼다.
6월 20일, 야생 서버가 열렸다.
2014년 7월 6일-2015년(전성기)
이때부터 알려지게 되고 소문이 나게 된 계기.
7월 6일, 드디어 이즈크래프트에 서버 컴퓨터가 생겼다고 한다.
10월 1일, 좀비 서바이벌 서버(데이즈)가 열렸다.
11월 7일, 타우니 기반 국가 전쟁 서버가 열렸다.
12월 24일 두번째 로비 서버가 오픈되었다.
2015년 전성기
2015년 1월 12일 능력자 서버를 증설하면서 2번째 서버 컴퓨터가 생겼다.
2015년 4월 20일, 퍼스트 아일랜드의 마인팜 서버가 리셋되어 렉이 줄었다.
2015년 6월 길드 시스템이 도입되면서 서버가 재편되었다. 재편된 서버는 다음과 같다.
서버 명칭 | 개편안 |
---|---|
국가전쟁 | 길드 시스템기반으로 개편 |
길드시스템 도입과 함께 거래 시스템도 도입되었다. 거래 시스템 도입 전까지 거래장에서 직접 거래를 하는 위험한 방식을 사용하였으나, 시스템 도입으로 사기가 많이 줄었다.
11월에는 이즈크래프트 유니버스 2라는 서버로 시즌을 새로 시작하였다.
하지만 여기서 문제가 터져나온다. 바로 EULA 사태.
EULA
이즈크래프트는 후원 시스템이 존재한다. 하지만 이즈크래프트는 이를 이용해 차등을 두면서 유료 서비스 및 경쟁 우위를 제공하여 EULA를 위반하였다.
초보, 평민/원로 등급의 경우 아무런 혜택도 존재하지 않으며, 후원 유저들의 경우 개인 광산, 테마 광산 같은 혜택마저 제공하였다.
자세한 내용은 이즈크래프트 EULA 위반 사건을 다루는 나무위키 문서를 참고하기 바란다.
결국...
2016년 몰락, 그리고 서비스 종료.
EULA 논란으로 버텨내기에는 버거웠는지 결국 이즈크래프트는 정품 서버로 전환하고 말았고 비정품 유저가 많은 서버였기에 유저 수 감소를 면치 못했으며, 11월 유니버스 3을 시작한지 2개월만에 운영사 이즈크래프트가 폐업하며 3개월 만에 서버는 서비스 종료되었다.
그 이후
유저들이 힘을 합쳐 이즈크래프트의 후신, 이즈크래프트 "리턴즈" 서버가 신설되고, 접속자가 50명을 넘어갔으나, 결국 자금 문제, 시간 문제로 종료되었다.
아프록시마스터 스튜디오 2004 또한 이즈크래프트 기능을 일부 통합한 야생 무정부 국가전쟁 서버인 "MB" 서버 등을 신설해 아프록시마스터 온라인에 포함한다고 한다. 공교롭게도 야인시대 패러디 겸 MB 서버 백스토리인 내전시대 8화-마지막화에서 전신인 이즈크래프트 서버 운영팀이 대놓고 빌런 집단으로 나온다. 후신격 서버가 전신격 서버를 까버린 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