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인크래프트 비바닐라 서버 소프트웨어 - GAME-CLI-SRV-DEV/GCSD-Discussions GitHub Wiki
GCSD가 현재 진출하는 마인크래프트와 관련한 모드 소프트웨어/서버 소프트웨어를 일컫는 문서.
일반 서버 소프트웨어 계열
버킷/스피곳 | 페이퍼 | 녹양스피곳크래프트버킷 | 스펀지 | 글로우스톤 |
---|---|---|---|---|
SpigotMC | Paper | NogyangSpigotCraftBukkit-Paperclip(NogyangSpigotCraftBukkit-Server+NogyangSpigot-API+BeodeulSponge-API) | SpongeVanilla | GlowStone |
NogyangSpigot-API | NogyangSpigot-API | - | LanternServer | NogyangSpigot(글로우킷 패치 흡수) |
- | Plazma | - | BeodeulSponge-API(녹양스피곳에 내장, API호환) | BeodeulSponge-API(녹양스피곳에 내장, API호환) |
- | Purpur | - | - | - |
- | Pufferfish | - | - | - |
- | Folia | - | - | - |
- | Leaves | - | - | - |
현재 존재하는 계열들이다. Project Rainbow는 Bukkit DMCA로 인해 개발되었다가 개발이 중단되고 1.21 버전 NogyangSpigot에 API 코드가 흡수되었다. Glowstone은 NMS 없이 만든 프로젝트다. NogyangSpigot은 nms가 있어 글로우스톤 포크가 아니지만 NogyangSpigot은 글로우킷 패치를 흡수하였다. Paper는 Spigot의 Fork다. 2024년 무려 90% 서버 운영자가 사용하며 과반수가 사용한다. Spigot은 Bukkit의 Fork다. Paper에 밀려서 퀼트랑 비슷한 수준으로 떨어졌다. Sponge는 Bukkit, Spigot, Paper, Glowstone과는 독립된 API다. SpongeAPI 플러그인은 Paper에선 사용할 수 없지만 NogyangSpigot의 경우 사용가능하다.
Craftbukkit 계열
이름: 버킷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 Bukkit API, Craftbukkit
이름 유래: 양동이를 뜻하는 영어인 Bucket에서 이름이 유래되었다.
소유자: 마이크로소프트(Mojang, 인수 이후 DMCA 까지), Mojang AB(Bukkit 팀 인수 후 2014년 까지), SpigotMC(2014년 4월 1일 Spigot 인수까지), Meta(Spigot 인수)
CEO: md_5(DMCA-현재), 사티아 나델라(2014-DMCA), 마르쿠스 페르손(인수-DMCA), 네이선 아담스(버킷 종료 선언 후), 워렌 루(창설-인수 전)
인수: 2012년으로 추정
명목상 지원 종료일: 2014 EULA 개정 후 DMCA: 2014년 9월 3일 경
설명: hMod에서 영감을 받은 서버 소프트웨어 Craftbukkit에 사용된 유명한 API다. 한국 커뮤니티에서는 이름도 유명해서 아예 버킷이라는 이름을 서버 소프트웨어라는 뜻으로 붙이기까지도 했다.
하지만 2014년, Mojang의 EULA 개정으로 개발자인 EvilSeph, 즉 워렌 루가 개발 중단을 선언했으나, Jeb_ 즉, 옌스 베르게스텐이 버킷이 모장에 인수되었다며 개발 중단을 무효화하였다. 이 이후에야 Mojang의 버킷 인수가 소문이 나게 된다. 이후 Dinnerbone, 네이선 아담스가 1.8 업데이트를 강제로 개시하였다, 결국 버킷 팀의 원래 리더인 워렌 루는 코드를 삭제할 것을 요청했으나 모장은 거절하였고, 결국 2014년 9월 3일 경 웨슬리 울프, 즉 Wolverness는 DMCA 테이크 다운을 요청하여 결국 2014년 9월 3일 이후, CraftBukkit의 소스 코드 저장소가 다운된 것을 시작으로 Spigot, MCPC+ 순으로 내려가면서 사실상 종료된다. 이후 Cauldron 개발자가 WorldEdit 개발자와 협력해 스펀지 팀에 들어간 이후 개발팀이 스펀지로 합병되어 Bukkit 팀은 해산되었고 이후 Spigot팀이 Spigot 프로젝트 업데이트 목적으로 프로젝트를 이어받았다.
컴파일해야하는 서버 프로그램
이름: Spigot, 한글 이름: 스피곳,
이름 유래: 액체 흐름을 제어하는 장치를 뜻하는 영어인 Spigot에서 이름이 유래되었다.
CEO: md_5(DMCA-현재)
Bukkit을 한번 더 포크해 최적화한 서버 프로그램이다. Bukkit 테이크다운 이후 다운로드 방법이 막혔다가 BuildTools를 이용해 컴파일하는 방식으로 다운로드가 가능하게 만들었다. 또한 BuildTools를 통하면 Craftbukkit이 컴파일된다. Spigot팀에서 Spigot을 업뎃하기위해 Craftbukkit에 생명 유지를 해준 것이다. Spigot은 2016년 4월 1일 만우절 장난으로 Meta에 인수되었다고 한 적이 있다.
NogyangSpigot 계열
버킷 | 정보 |
---|---|
이름 | NogyangSpigotCraftBukkit, 한글 이름: 녹양스피곳크래프트버킷 |
이름 유래 | 종이를 뜻하는 영어 Paper에서 이름이 유래되었다. |
API | Glowkit API, Bukkit API, Spigot API, Paper API, Sponge API, Rainbow API, Glowstone API, Nogyang API, Beodeul API |
지원 로더 | 글로우킷 플러그인, 버킷 플러그인, 스피곳 플러그인, 페이퍼 플러그인, 스펀지 플러그인, 레인보우 플러그인, 글로우스톤 플러그인, 녹양이 플러그인, 버들이 플러그인 |
하드포크 전 Paper의 포크이다. API 이름은 녹양이와 버들이라는 녹양중학교에 살던 노란색 고양이 이름에서 따왔다.
Spigot 매핑(재난독화 매핑)만 지원해 Mojmap 플러그인은 호환되지 않을 확률이 크다!
장점은 Bukkit/Spigot의 새로운 함수도 호환하며, 스펀지와 호환, 레인보우 코드를 첨가하였다.
Paper 계열
버킷 | 정보 |
---|---|
이름 | Paper, 한글 이름: 페이퍼 |
이름 유래 | 종이를 뜻하는 영어 Paper에서 이름이 유래되었다. |
Spigot을 포크해서 문제점을 고친 서버다. 대비 장점이 많고 유저들이 즐겨 사용한다.
가장 중요한 점은 Paperweight, Paperclip을 통해 DMCA를 해결하였다는 점이다. 하지만 단점은 모든 버그가 막혀 설정을 수정해야 하거나 공장을 Paper 전용으로 개조해야 되서
Paper를 쓰지않고 Fabric + Cardboard 조합 서버를 여는 경우도 있다.
1.21.4를 기점으로 12월 14일 하드포크를 해 사실상 버킷 계열에서 떨어져나갔으며 1.7-1.21.3 및 하드포크 이전 버전은 Paper-Archive 저장소로 옮겨졌다.
버킷 | 정보 |
---|---|
이름 | 퍼퍼 |
API | Paper API, Tuinity API, Airplane/Pufferfish API(1.17.1-1.20.4), Purpur API |
플러그인 로더 | 페이퍼 플러그인, 에어플레인/퍼퍼피쉬 플러그인, 퍼퍼 플러그인 |
Paper에 커스터마이징 옵션을 가미한 서버다. 원래는 AirPlane/Pufferfish 패치가 포함된 포크였으나, Pufferfish가 업뎃을 중단하며
Pufferfish가 퍼퍼에서 삭제되었다가, 1.21.1로 업뎃이 되며 다시 추가되었다.
이름: Andromeda, 한글 이름: 안드로메다(공식), 마지막 빌드 #323
API: Paper API, Airplane/Pufferfish API, Purpur API, Andromeda API
플러그인 로더: 버킷 플러그인, 스피곳 플러그인, 페이퍼 플러그인, 퍼퍼피쉬 플러그인, 퍼퍼 플러그인, 안드로메다 플러그인
이름 유래: 우주에 있는 은하 중 하나를 뜻하는 영어 단어 Andromeda에서 이름이 유래되었다.
프리즈머린 개발자였던 AlphaKR93이 Earendel에서 개발하였던 새로운 버킷이었다.
2023년 RTU스튜디오의 퓨전이랑 합병하여 Plazma로 통합되며 개발이 종료되었다.
이름: Fusion, 한글 이름: 퓨전(공식) 마지막 빌드 #238
이름 유래: 합성을 뜻하는 영어단어 Fusion에서 이름이 유래되었다.
API: Paper API, Pufferfish API, Purpur API, Fusion API
플러그인 로더: 버킷 플러그인, 스피곳 플러그인, 페이퍼 플러그인, 퍼퍼피쉬 플러그인, 퍼퍼 플러그인, 퓨전 플러그인
RTU 운영자였던 IPECTER가 RTU에서 개발하였던 새로운 버킷이었다.
2023년 아렌델 아카이브의 안드로메다랑 합병하여 Plazma로 통합되며 개발이 종료되었다.
이름: Plazma, 한글 이름: 플라즈마(공식)
API: Paper API, Airplane/Pufferfish API, Purpur API, Plazma API
플러그인 로더: 버킷 플러그인, 스피곳 플러그인, 페이퍼 플러그인, 퍼퍼피쉬 플러그인, 퍼퍼 플러그인, 플라즈마 플러그인
이름 유래: 제 4의 물질 상태를 뜻하는 플라즈마에서 이름이 유래되었다.
버킷 프로젝트였던 프리즈머린/안드로메다, 퓨전이 서로 합병하여 생성된 프로젝트이다.
최적화 가이드를 통해 구성이 기본 설정되어있다. FreedomChat도 포함한다.
이름: Leaves, 한글 이름: 리브즈
API: Paper API, Leaves API
플러그인 로더: 버킷 플러그인, 스피곳 플러그인, 페이퍼 플러그인, 리브즈 플러그인
이름 유래: 나뭇잎을 뜻하는 영어 단어 중 하나인 Leaves에서 유래되었다. 상상의 주도 개발자였던 Outfit8TSB가 리브스라는 이름을 썼다. 나중에 나무위키에서 리브즈라는 이름으로 표기되었다.
마인크래프트에 있는 고쳐진 버그를 재활성화하는 목적으로 제작되었다.
개발 중단
버킷 | 정보 |
---|---|
이름 | 녹양스피곳(구) |
API | Bukkit API, Spigot API, Paper API, Airplane/Pufferfish API(1.20.6) |
플러그인 로더 | 버킷 플러그인, 스피곳 플러그인, 페이퍼 플러그인, 에어플레인/퍼퍼피쉬 플러그인 |
상상 프로젝트(1.20.6-1.21.1)로 세대 교체가 이루어지면서 이전 녹양스피곳-멀티넷-버들스펀지 프로젝트는 1.20.6부터 개발이 중단되었고 저장소가 보관되었다.
버킷 | 정보 |
---|---|
이름 | 멀티넷 |
API | Bukkit API, Spigot API, Paper API, Minestom API |
플러그인 로더 | 버킷 플러그인, 스피곳 플러그인, 페이퍼 플러그인, 마인스톰 확장 팩 |
상상 프로젝트로 세대 교체가 이루어지면서 이전 녹양스피곳-멀티넷-버들스펀지 프로젝트는 1.20.6부터 개발을 중단하였다.
멀티버킷은 1.20.4에서 개발중단.
버킷 | 정보 |
---|---|
이름 | 버들스펀지(구) |
API | Sponge |
플러그인 로더 | 스펀지 플러그인 |
이것또한 상상 프로젝트로 세대 교체가 이루어지면서 개발이 중단되었다.
버킷 | 정보 |
---|---|
이름 | 상상 |
API | Bukkit API, Spigot API, Paper API, Airplane/Pufferfish API, Purpur API, Plazma API, Leaves API |
플러그인 로더 | 버킷 플러그인, 스피곳 플러그인, 페이퍼 플러그인, 퍼퍼피쉬 플러그인, 퍼퍼 플러그인, 플라즈마 플러그인, 리브즈 플러그인 |
Outfit8TSB가 만든 Plazma 기반의 버킷이다.
2024년 8월에는 서버를 해당 버킷으로 열기까지 했다.
2025년 1월, Approximaster Studios 2004 출범과 함께 Smart로 세대가 교체되며 완전히 개발이 중단되었다.
Forge 계열
Forge(구)
MinecraftForgeModLoader
정보 | 정보 |
---|---|
이름 | Forge |
전신 | 모드로더, 포지(구) |
개발 중단 | 2023년 7월 12일(개발팀 총사퇴로 개발팀 해산) |
주도 개발자 | 렉스 마노스 |
소유 | 유한책임회사 마인크래프트포지(Forge LLC) |
후신 | 네오포지(실질적), 렉스포지(법적상) |
LexForge
정보 | 정보 |
---|---|
이름 | LexForge |
전신 | 모드로더, 포지(구) |
프로젝트 여부 | 렉스 마노스 개인 프로젝트 |
개발자 | 렉스 마노스 |
소유 | 유한책임회사 마인크래프트포지(Forge LLC) |
Sponge 계열
스펀지포지,스펀지네오(모드)
정보 | 정보 |
---|---|
이름 | 스펀지네오 |
버전 | 네오포지 1.21.4 |
플러그인 | 스펀지 플러그인, 네오포지 모드 |
사건사고/논란
2014년 버킷 테이크다운 사태
2014년 EULA 시행 이후, 버킷 팀 주도 개발자 EvilSeph는 개발 중단을 선언하였다. 하지만 Mojang측에서 버킷 팀을 인수하였고 그의 마음대로 종료할 수 없다고 주장하였다. 이후 디너본이 버킷을 1.8로 업데이트 하였으나, 이게 사건의 시작이 되고 만다.
2014년, 울프는 즉시 증거물을 모아 DMCA를 Github에 보냈고, 이로 인해 버킷, 스피곳, 콜드론 프로젝트가 한꺼번에 날아가, 결국 버킷 팀은 해산되고 버킷 플러그인 또한 업데이트가 중단되면서 개발자 과반수가 페이퍼/스펀지로 넘어간 뒤 이후 스피곳팀이 업데이트를 유지하기 위해 크래프트버킷을 이어받아 유지하게 되었다.
이후 빌드툴을 통한 빌드 방법과 페이퍼의 비상으로 플러그인들이 Spigot/Paper 기반으로 다시 업데이트가 되었다.
하지만 이런 스피곳도 결국 몰락하게 된다.
2020년대 스피곳 대표 태도 논란
발단/전개
스피곳 대표 md_5는 이전부터 공격적인 말투로 악명 높았다.
절정
2020년 12월, 마인아카데미는 스피곳 측 운영 정책에 불만을 품고 즉시 플러그인을 BuiltByBit로 이전하였다.
하지만 스피곳 측은 마인아카데미 측 계정을 광고 행위를 이유로 영구 정지시켰고 결국
또한 스피곳 1.21.5 스냅샷 공개를 거절하였다.
2025년 2월에는 무려 Spartan Anticheat의 개발자마저 규칙 개정을 요구하자마자 이슈가 닫히고 검열당했다.
결과
결국 2024년 12월 참지 못한 페이퍼가 스피곳에서 하드포크를 해 버킷 계열에서 떨어져나갔다. Approximaster는 하드포크에 적대적인 입장이었으나 PaperMC측의 설득으로 중립적 입장을 보였다가 2025년 3월 규칙 개정을 요구한 SpartanAnticheat가 검열당하자 하드포크에 우호적인 입장을 보이며 SpigotMC를 비판하고 나서면서 md_5의 탄핵을 주장하였으나, 결국 md_5에 의해 검열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