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문법 250331 - DKDUD123/ex250310_first GitHub Wiki
C언어 기초 문법 정리
📌 수치형식 (Numeric Types)
C언어에서 숫자를 저장할 때 사용하는 자료형은 정수형과 실수형으로 나뉩니다.
🔷 정수형 (Integer Types)
자료형 | 크기 (byte) | 설명 |
---|---|---|
char |
1 byte | 문자/작은 정수 |
short |
2 bytes | 짧은 정수 |
int |
4 bytes | 기본 정수형 |
long |
4 or 8 bytes | 큰 정수 (플랫폼 차이 있음) |
⚠️
long
의 크기는 시스템에 따라 4 또는 8 byte일 수 있음
char
는 문자 저장에 자주 쓰이며, ASCII 코드 기반
🔷 실수형 (Floating Point Types)
자료형 | 크기 (byte) | 설명 |
---|---|---|
float |
4 bytes | 단정도 실수, 약 소수점 6자리 |
double |
8 bytes | 배정도 실수, 약 소수점 15자리 |
💡
float
값은f
접미사 사용 →3.14f
double
은 기본 실수 자료형 →3.14
만 써도 됨
🔁 반복문
🔹 for문
for (초기값; 조건; 증감) {
// 반복할 코드
}
- 초기값: 반복문 시작 시 변수 선언 및 초기화
- 조건: 반복할 조건 (참일 동안 반복)
- 증감: 루프 실행 후 변수 증가 또는 감소
✅ 예시
for (int i = 1; i <= 10; ++i) {
printf("%d\n", i);
}
- i는 1부터 시작
- i가 10 이하일 때까지 반복
- 매 반복마다 i를 1씩 증가
결과: 1 ~ 10 출력
🔹 while문
while (조건) {
// 반복할 코드
}
- 조건이 참일 동안 계속 실행
- 반복 횟수가 명확하지 않을 때 사용
✅ 예시
int i = 0;
while (i < 5) {
printf("%d\n", i);
i++;
}
- i가 5보다 작을 때까지 반복
- 결과: 0 ~ 4 출력
📝 정리 요약
- 정수형:
char
,short
,int
,long
- 실수형:
float
,double
- for문: 반복 횟수가 정해진 경우 사용
- while문: 조건만으로 반복할 때 사용
Using %f: 123.456789
Using %g: 123.4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