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ta XR 시뮬레이터 사용하기 - 2024-Adoor/practice GitHub Wiki
Meta XR Simulator로 기기 없이 조작 시뮬레이션하기
참고: Meta XR Simulator Introduction
- Meta XR Simulator on Unity Asset Store에서 내 에셋에 추가하기
- 유니티 패키지 관리자에서 내 에셋으로 필터링하고 Meta XR Simulator를 찾아 설치

- 패키지 다운로드: 여기에서 오른쪽 구름 버튼을 눌러 다운로드

- 유니티 패키지 관리자에서
타르볼에서 패키지 추가…
로 다운로드한 패키지 추가

- 메뉴에서
Oculus > Meta XR Simulator > 활성화
로 시뮬레이터 활성화
이제 플레이하면 Meta XR Simulator 창이 같이 실행되어 실제 기기 없이도 조작을 시뮬레이션 할 수 있게 된다.
조작법 바인딩은 실행했을 때 나타나는 메뉴에서 확인할 수 있다.
참고: Meta XR Simulator Passthrough Scenes

여기서 이미 존재하는 세 개 중 하나를 시뮬레이션 할 수 있다.
참고: Use Scene Recorder in Meta XR Simulator
퀘스트에서 Space Setup으로 저장된 실제 공간의 정보를 XR 시뮬레이터에서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패스스루는 되지 않는다. (정확히 말하자면 텍스처 정보가 없으니 그냥 검은색으로 나온다)
- {유니티 프로젝트 폴더}\Library\PackageCache\com.meta.xr.simulator@{버전}\MetaXRSimulator\data_recorders에 가면 SceneDataRecorder.apk이 있다.
- 메타 퀘스트가 연결된 MQDH로 apk를 드래그하면 헤드셋에 apk을 설치할 수 있다.
- 메타 퀘스트의 설정 > 앱 에서 SceneDataRecorder Sample을 찾고 스토리지 권한을 활성화한다.
저의 경우 이미 켜져 있었습니다. - 앱을 실행하면 익숙한 Space Setup 화면이 뜨고 이미 만들어둔 공간이 있으면 아무것도 안 하고 완료만 눌러도 헤드셋에 json 파일이 저장된다고 한다.
참고: 앱을 라이브러리에서 그냥 찾으면 안보이고 위에 분류에서 출처를 알 수 없는 앱으로 바꿔줘야 함! - 이 파일을 adb로 컴퓨터로 옮겨와야 한다.
MQDH의 Custom Commands에서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터미널에서 하라는데 환경변수 설정이 안 되서 귀찮으니 이렇게 함 -
adb pull /sdcard/scene_anchors_empty_room.json {내 컴퓨터의 저장할 경로}
실행.
adb 에뮬레이터가 여러개인 경우 오류가 나니 확인해야 한다고 한다. ADB over wifi를 켜놓고 usb로도 연결해두면 두개가 잡히니 선을 미리 빼두어야 한다.
저장할 경로로 공식 문서는 XR 시뮬레이터 패키지 폴더 아래의 \config\anchors를 예로 들고 있지만 XR 시뮬레이터 패키지 폴더가 프로젝트별로 나타난다는 점을 생각해 보면 외부에다가 저장해두는 게 더 나을 것 같다. 사실 경로 중간에 띄어쓰기 있는 폴더명이 들어가는데 이거 어떻게 escape 하는지 몰라서 그냥 대충 다른데다가 한 이유가 더 크긴 합니다... - XR 시뮬레이터에 불러와야 한다. 일단 시뮬레이터를 켜야 하니 아무 프로젝트나 시뮬레이터로 플레이한다.
- Settings에서 내 컴퓨터에 저장된 Scene json 파일을 불러온다. Exit simulator로 종료하고 다음 플레이부터 적용된다.
-
Use Scene Recorder in Meta XR Simulator
퀘스트에서 직접 방을 기록한 데이터를 통해 시뮬레이터에서 배경으로 활용할수 있다는것 같습니다. -
XRSim Recorder JSON Format
직접 JSON으로 공간 데이터를 건들 수 있다고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