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t‐Planning - 100-hours-a-week/6-nemo-wiki GitHub Wiki

스프린트 작업일수

스프린트 이름 날짜 작업일수 비고
스프린트 1 플래닝 25.03.31 1 기획 시작
스프린트 1 25.03.31 ~ 25.04.10 10  
스프린트 1 리뷰&회고 25.04.12 ~ 25.04.13 2
스프린트 2 플래닝 25.04.14 0.5 설계 시작
스프린트 2 25.04.14 ~ 25.04.24 10
스프린트 2 리뷰&회고 25.04.25 ~ 25.04.27 3
스프린트 3 플래닝 25.04.28 0.5 MVP 개발
스프린트 3 25.04.28 ~ 25.05.09 9 05.05~05.06 휴강
스프린트 3 리뷰&회고 25.05.10 ~ 25.05.11 2 MVP 배포(v1)
스프린트 4 플래닝 25.05.12 0.5  
스프린트 4 25.05.12 ~ 25.05.23 11  
스프린트 4 리뷰&회고 25.05.24 ~ 25.05.25 2 업데이트(v2)
스프린트 5 플래닝 25.05.26 0.5  
스프린트 5 25.05.26 ~ 25.06.05 10
스프린트 5 리뷰&회고 25.06.06 ~ 25.06.08 3 업데이트(v3)
스프린트 6 플래닝 25.06.09 0.5  
스프린트 6 25.06.09 ~ 25.06.20 11 06.06(현충일)
스프린트 6 리뷰&회고 25.06.21 ~ 25.06.22 2 업데이트(v4)
스프린트 7 플래닝 25.06.23 0.5  
스프린트 7 25.06.23 ~ 25.07.04 10 06.27 네트워킹 데이
스프린트 7 리뷰&회고 25.07.05 ~ 25.07.06 2 업데이트(v5)
스프린트 8 플래닝 25.07.07 0.5  
스프린트 8 25.07.07 ~ 25.07.18 11  
스프린트 8 리뷰&회고 25.07.19 ~ 25.07.20 2 업데이트(v6)
스프린트 9 플래닝 25.07.21 0.5  
스프린트 9 25.07.21 ~ 25.07.25 4  
스프린트 9 리뷰&회고 25.07.25 0.5 업데이트(v7)

합계 작업일수: 0일


스프린트 3,4

[프론트엔드]

스프린트 우선순위 업무명 플래닝 포인트 담당자 이유
3 1 프로젝트 환경 설정 및 디자인 시스템 2 FE(ray) 프로젝트 정체성을 반영한 디자인 시스템과 고안, tailwind 환경설정
3 2 공통 컴포넌트 구현 4 FE(ray) 재사용 가능하고 변동성 있는 UI와 데이터 렌더링 컴포넌트 구축(10개이하)
3 3 모임 도메인 구현
- 모임 조회
- 모임 상세
- 모임 생성
- 나의 네모
5 FE(ray) 많은 API 호출이 필요한 페이지 (약 6개)
3 4 일정 도메인 구현
- 나의 일정
- 일정 생성
- 일정 상세
4 FE(ray) 많은 API 호출이 필요한 페이지 (약 4개)
3 5 유저 도메인 구현
- 소셜로그인
- 인증처리
3 FE(ray) 소셜 로그인 구현 미숙
3 6 검색 도메인 구현
- 키워드 기반
- 카테고리 기반
2 FE(ray) 성능을 고려했을 때 연장 이슈

[인공지능]

스프린트 우선순위 업무명 플래닝 포인트 담당자 이유
3 1 fast api 서버 기본 세팅 1 AI(romi) [업무 난이도 또는 범위 설명]
3 2 API 라우터 생성 1 AI(lillian) [업무 난이도 또는 범위 설명]
3 3 Gemini API 연동 및 테스트 1 AI(romi) [업무 난이도 또는 범위 설명]
3 1 [한 줄, 상세 소개] 텍스트 생성 4 AI(lillian)
3 3 [태그 추출] 임베딩 4 AI(lillian)
3 2 [단계별 기획] 텍스트 생성 4 AI(romi) step별로 커리큘럼 텍스트 생성으로 정교한 프롬프팅 필요
3 3 [ChromaDB 연결] 데이터베이스 3 AI(lillian)

[백엔드]

스프린트 우선순위 업무명 플래닝 포인트 담당자 이유
3 1 개발 환경 세팅 1 BE(daniel) 기초 환경 세팅
3 2 [API 개발]
- 모임 도메인
- 모임원 도메인
4 BE(daniel) POST
GET 만 구현
3 3 [API 개발]
- 일정 도메인
- 일정참여자 도메인
4 BE(daniel) POST
GET 만 구현
3 4 [API 개발]
- 회원 도메인
3 POST
GET 만 구현
카카오 간편로그인 구현 과정 이해 및 환경 세팅
3 5 [기능 개발]
- 내부 알림 도메인
2 BE(daniel) GET만 존재
3 6 [기능 개발]
- 외부 알림 도메인
4 BE(daniel) 알림톡 전송 과정 이해. 비즈니스 등록 등

[클라우드]

스프린트 우선순위 업무명 플래닝 포인트 담당자 이유
3 1 v1 개발 서버 구축 2 [CL] glenn AI쪽 배포는 안해봤기 때문에
3 2 5단계 설계 테스트 4 [CL] sean 시스템 구조 정화히 파악/이해
3 3 v1 운영 인프라 구축 3 [CL] sean GCP환경에 대해서 팀원 간 이해도 수준을 맞추기 위해서
3 4 v1 CI/CD 자동화 3 [CL] glenn 모든 서비스에 대한 빌드 및 배포 과정을 알아야 하기 때문에
3 5 v1 모니터링 및 장애 대응 시나리오 테스트 2 [CL] sean 모니터링 누락 → 도입 예정
3 6 6단계 설계 5 [CL] glenn 쿠버네티스에 대한 개념이 부족해 공부와 실습 그리고 설계와 구축까지 진행해야하기 때문에.

스프린트 5,6

프론트엔드

스프린트 우선순위 업무명 플래닝 포인트 담당자 이유
5 1 프로젝트 구조 리팩토링 4 ray FSD 아키텍처 기반 재구성과 클린 아키텍처를 위해 구조 재조정이 필요한 볼륨이 큰 작업일 것으로 생각됩니다.
5 2 코드 포맷팅 설정 2 ray 지속가능한 개발과 유지보수를 위한 작업입니다.
5 3 공통 컴포넌트 재구축 2 ray 공통 컴포넌트 소요가 많을 것 같진 않습니다.
5 4 컴포넌트 분리 및 병합 4 ray 컴포넌트 분리와 관심사 분리의 소요가 많은 것으로 판단되었습니다.
5 5 성능 개선 5 ray 성능개선이 필요한 부분에 대한 난도와 사이즈가 큰 것으로 판단됩니다.
5 6 QA 피드백 반영 5 ray QA 피드백 반영할 수 있는 부분과 트러블 슈팅에 대한 부분이 15개 이상 발견되었습니다.

인공지능

스프린트 우선순위 업무명 플래닝 포인트 담당자 이유
5 1 도커+TGI/TorchServe 배포 완료 romi
5 2 Chroma DB 설정 4 lillian 완료, 실질적인 백엔드와 연동 확인 필요
5 3 챗봇 구현 5 lillian AI 위키 최신화 / LangChain 도입 여부
5 4 초반 캐싱 도입 2 AI 멘토링 피드백
5 2 tests 폴더 구현 3 lillian AI 답변의 지속적인 품질 확인
5 1 로컬 모델로 전환 3 romi
5 3 프롬프트 출력 마크다운 전환 + 이모지 추가 1 romi UI / UX 개선

백엔드

스프린트 우선순위 업무명 플래닝 포인트 담당자 이유
5 1 패키지/코드 구조 리팩토링 4 daniel 유지보수에 용이
5 2 Swagger 작성 3 daniel 자동 문서화 도구를 도입하여 생산성 증가
5 3 AOP 적용 2 daniel Controller의 logic 속도 측정 및 개선
5 4 DB 쿼리 성능 개선 5 daniel API 속도 개선 및 성능 개선
5 5 Redis 적용 4 daniel 로그인/로그아웃 시 적용
5 6 테스트 코드 작성 5 daniel 볼륨이 크지만, 유지보수에 용이
5 7 v2 API 준비 (SSE) 5 daniel 학습 곡선 존재, v2 기능 추가에 필요

클라우드

스프린트 우선순위 업무명 플래닝 포인트 담당자 이유
5 1 v1 인프라 최종 문서화 4 glenn 기록
5 2 v2 설계 점검 및 보완 5 공통 모니터링, VPN 툴 변경
5 3 v1 성능 점검 및 v2 개선 sean v1에서 모니터링 도구나 부하테스트 성능 지표 등을 토대로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AutoScaling, RDS 등 도입
5 4 v2 도입 전 서비스별 추가사항에 따른 학습 4 공통 redis 도입 등 기술 추가에 따라 원활한 구축을 위한 학습
5 5 v2 개발 환경 구축 3 sean 3티어 구축
⚠️ **GitHub.com Fallback**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