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t‐Planning - 100-hours-a-week/21-iceT-wiki GitHub Wiki
스프린트 이름 | 날짜 | 작업일수 | 주요내용 | 비고 |
---|---|---|---|---|
스프린트 1 플래닝 | 25.03.31 | 0.5 | 기획 시작 | |
스프린트 1 | 25.03.31 ~ 25.04.10 | 8 | 4.11 휴강 | |
스프린트 1 리뷰&회고 | 25.04.10 | 0.5 | 기획 완료 | |
스프린트 2 플래닝 | 25.04.14 | 0.5 | 설계 시작 | |
스프린트 2 | 25.04.14 ~ 25.04.24 | 9 | 04.25 네트워킹 데이 | |
스프린트 2 리뷰&회고 | 25.04.25 | 0.5 | 설계 완료 | |
스프린트 3 플래닝 | 25.04.28 | 0.5 | MVP 개발 시작 | |
스프린트 3 | 24.04.28 ~ 25.05.09 | 7 | 5.11(데드라인) 5.5, .5.6 휴강 | |
스프린트 3 리뷰&회고 | 25.05.09 | 0.5 | MVP 개발 완료 | |
스프린트 4 플래닝 | 25.05.12 | 0.5 | 1차 배포 | |
스프린트 4 | 25.05.12 ~ 25.05.23 | 9 | 서비스 운영, 유지보수 | |
스프린트 4 리뷰&회고 | 25.05.23 | 0.5 | 1차 배포 회고 | |
스프린트 5 플래닝 | 25.05.26 | 0.5 | v2 개발 시작 | |
스프린트 5 | 25.05.26 ~ 25.06.05 | 8 | 06.03(선거), 06.06(현충일) | |
스프린트 5 리뷰&회고 | 25.06.05 | 0.5 | v2 개발 완료 | |
스프린트 6 플래닝 | 25.06.09 | 0.5 | 2차 배포 | |
스프린트 6 | 25.06.09 ~ 25.06.20 | 9 | 서비스 운영, 유지보수 | |
스프린트 6 리뷰&회고 | 25.06.20 | 0.5 | 2차 배포 회고 | |
스프린트 7 플래닝 | 25.06.23 | 0.5 | v3 개발 시작 | |
스프린트 7 | 25.06.23 ~ 25.07.04 | 9 | 06.27 네트워킹 데이 | |
스프린트 7 리뷰&회고 | 25.07.04 | 0.5 | v3 개발 완료 | |
스프린트 8 플래닝 | 25.07.07 | 0.5 | 3차 배포 | |
스프린트 8 | 25.07.07 ~ 25.07.18 | 9 | 서비스 운영, 유지보수 | 7/14~7/18 부하테스트 |
스프린트 8 리뷰&회고 | 25.07.18 | 0.5 | 3차 배포 회고 | |
스프린트 9 플래닝 | 25.07.21 | 0.5 | v4 개발 | |
스프린트 9 | 25.07.21 ~ 25.08.01 | 7 | v4 개발 완료 및 4차 배포 | |
스프린트 9 리뷰&회고 | 25.08.01 | 0.5 | 프로젝트 회고 |
합계 작업일수: 85일
스프린트 | 우선순위 | 업무명 | 플래닝 포인트 | 담당자 | 이유 |
---|---|---|---|---|---|
1 | 1 | 요구사항 분석 및 기획 | 3 | maeve | 전체 시스템의 방향성과 MVP 범위 설정을 위해 가장 먼저 필요 |
1 | 2 | 기능 설계 | 2.5 | maeve | 기능 단위 정의 이후 API 및 DB 설계에 기준 제공 |
1 | 3 | 화면 설계 | 2.5 | maeve | UI 흐름을 통해 API 설계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API 전 정의 필요 |
2 | 1 | ERD 설계 | 3 | maeve | 전체 데이터 흐름 및 연관관계를 먼저 정의하고 API 설계 기반 마련 |
2 | 2 | API 설계 | 4 | maeve | 실제 개발 이전에 각 기능의 HTTP 구조 및 응답 정의 필수 |
2 | 3 | 기술 검토 및 설정 | 2 | maeve | 사용 기술 스택(Spring Boot, Redis, Kafka 등) 확정 및 환경 설정 |
2 | 4 | OAuth, JWT 등을 이용한 로그인 구현 | 3 | maeve | 모든 인증 기반 서비스의 진입점으로 가장 먼저 구현되어야 함 |
3 | 1 | 해설집 제공 API 개발 | 2 | maeve | 핵심 MVP 기능. 사용자에게 가장 중요한 수단인 해설집 제공을 위해 필요 |
3 | 2 | 선호 API 개발 | 1 | maeve | 데이터 수집 기반으로, 추후 기능 확장을 위해 반드시 선행됨 |
3 | 3 | 대시보드 정보 조회 API 개발 | 1 | maeve | MVP 주요 기능(사용자 정보, 수강정보 등) 제공 |
3 | 4 | 디스코드와의 연동 | 0.5 | maeve | 추천 이후 사용자에게 가장 중요한 보조 학습 수단인 해설집 제공을 위해 필요 |
3 | 5 | 백준 문제 크롤링 | 0.5 | maeve | 문제 변동 기반 추천을 위한 DB 초기 구축에 필요 |
3 | 6 | 리팩토링 | 0.5 | maeve | 패키지 구조/의존성 정리를 위한 보수성과 기능성 개선 |
4 | 1 | 테스트코드 작성 | 3 | maeve | 테스트 필요로 테스트 시각화 확보 |
4 | 2 | 커버리지 측정 | 1 | maeve | QA 수준 확인, 테스트 사각지대 파악 용도 |
5 | 1 | WebSocket을 이용한 챗봇 API 개발 | 4 | maeve | 실시간 AI 챗봇 인터페이스 구현으로 대화형 서비스 완성 |
5 | 2 | 대화 히스토리 API 개발 | 3 | maeve | 사용자 진행 질문 저장/조회하여 이어 질문 트리 제공 |
5 | 3 | 내 정보 수정 API 개발 | 1 | maeve | 사용자 프로필(닉네임, 이미지 등) 설정 가능하도록 필요 |
5 | 4 | 비동기 응답처리 전환 위한 API 문서 변경 | 0.5 | maeve | Kafka 기반 메시지 구조 대응을 위해 문서 설계 수정 필요 |
6 | 1 | Redis 캐시 적용 | 4 | maeve | 실시간 요청 많은 데이터 조회 성능 향상을 위해 Redis 도입 |
6 | 2 | Kafka 적용 | 3 | maeve | Kafka를 사용하여 메시지 전송 처리 비동기화 |
6 | 3 | DB 인덱스 튜닝 | 0.5 | maeve | 병목 예측되는 테이블에 인덱스 설계 |
7 | 1 | 게시글 API 구현 | 3 | maeve | SNS 기능 필요 - 작성/삭제/조회/댓글 기능 포함 |
7 | 2 | 문제출제 API | 2 | maeve | 출제자가 기능 도입에 따른 핵심 기능 |
7 | 3 | 수강생 통계 API | 1 | maeve | 교육용 기능 및 관리 도구로 수강생 관련 필요 |
7 | 4 | 수강생 상세 API | 1 | maeve | 교육용 기능 및 관리 도구로 수강생 관련 필요 |
7 | 5 | 수강생 관리 API | 1 | maeve | 교육용 기능 및 관리 도구로 수강생 관련 필요 |
7 | 6 | 퀴즈 대시보드 API | 1 | maeve | 피드백, 문제 현황 등을 확인하는 대시보드 구성 목적 |
8 | 1 | 쿼리 최적화 | 3 | maeve | 과도한 JOIN, N+1 등 병목 발생하는 지점 개선 |
8 | 2 | API 병목 문제 개선 | 2 | maeve | 과도한 병목 발생하는 지점 개선 |
8 | 3 | 테스트코드 작성 | 2 | maeve | 유지보수와 회차 확인 테스트 보완 |
8 | 4 | 커버리지 측정 | 2 | maeve | 누락 테스트 보완, 테스트 품질 관리 |
9 | 1 | Spring Batch 적용 | 3 | maeve | 데이터 백업, 사용자 통계 목적 |
9 | 2 | 리팩토링 | 2 | maeve | 서비스 구조/비즈니스 로직 정리 |
9 | 3 | e2e 테스트 시나리오 추가 | 2 | maeve | 실제 사용자 플로우 기준 전체 통합 테스트 구축 |
플래닝 포인트: 75
스프린트 | 우선순위 | 업무명 | 플래닝 포커 | 담당자 | 이유 |
---|---|---|---|---|---|
3 | 1 | 프론트엔드 개발 환경 세팅 | 0.5 | 혜미 이 | React 개발 환경 및 eslint, prettier 등 설정 |
3 | 2 | 로그인, 최초 로그인 페이지 UI 개발 | 1 | 혜미 이 | UI 개발 |
3 | 3 | 메인 페이지 UI 개발 | 0.5 | 혜미 이 | UI 개발 |
3 | 4 | 설문 페이지 UI 개발 | 0.5 | 혜미 이 | UI 개발 |
3 | 5 | 문제 리스트 페이지 UI 개발 | 0.5 | 혜미 이 | UI 개발 |
3 | 6 | 해설 페이지 UI 개발 | 0.5 | 혜미 이 | UI 개발 |
3 | 7 | API 연결 | 1 | 혜미 이 | 백엔드와 연동 필요 |
3 | 8 | 프론트엔드 배포 환경 설정 | 0.5 | 혜미 이 | 클라우드 팀과 논의 |
3 | 9 | 통합 테스트 | 1 | 혜미 이 | MVP 출시 전 테스트 |
4 | 1 | 1차 배포 후 피드백 반영 | 0.5 | 혜미 이 | 유저 피드백 반영 |
4 | 2 | 코드 리팩토링 | 1 | 혜미 이 | 코드 정리 작업 |
4 | 3 | v2 제작을 위한 사전 세팅 | 3 | 혜미 이 | UI 레이아웃 사전 작업 및 챗봇 서비스 조사 |
5 | 1 | 챗봇 메인 페이지 개발 | 0.5 | 혜미 이 | UI 개발 |
5 | 2 | 챗봇 - 코드 피드백 페이지 개발 | 0.5 | 혜미 이 | UI 개발 |
5 | 3 | 챗봇 - 모의 면접 페이지 개발 | 1.5 | 혜미 이 | UI 개발 |
5 | 4 | 챗봇 - 대화이력 페이지 개발 | 0.5 | 혜미 이 | UI 개발 |
5 | 5 | 더보기 페이지 개발 | 0.5 | 혜미 이 | UI 개발 |
5 | 6 | 내 정보 수정 페이지 개발 | 0.5 | 혜미 이 | UI 개발 |
5 | 7 | API 연결 | 3 | 혜미 이 | 백엔드 연동 |
5 | 8 | 통합 테스트 | 2 | 혜미 이 | 출시 전 테스트 |
5 | 9 | 2차 배포 후 피드백 반영 | 0.5 | 혜미 이 | 유저 피드백 반영 |
6 | 1 | 코드 리팩토링 | 1 | 혜미 이 | 코드 정리 |
6 | 2 | v3 제작을 위한 사전 세팅 | 3 | 혜미 이 | UI 레이아웃 사전 제작 |
7 | 1 | 출제자 메인 페이지 개발 | 0.5 | 혜미 이 | UI 개발 |
7 | 2 | 출제자 - 문제 출제 페이지 개발 | 0.5 | 혜미 이 | UI 개발 |
7 | 3 | 출제자 - 수강생 관리 페이지 개발 | 0.5 | 혜미 이 | UI 개발 |
7 | 4 | 출제자 - 수강생 상세 페이지 개발 | 0.5 | 혜미 이 | UI 개발 |
7 | 5 | 출제자 - 수강생 통계 페이지 개발 | 1 | 혜미 이 | UI 개발 |
7 | 6 | 알림 페이지 개발 | 0.5 | 혜미 이 | UI 개발 |
7 | 7 | 게시판 메인 페이지 개발 | 0.5 | 혜미 이 | UI 개발 |
7 | 8 | 게시판 - 상세 페이지 개발 | 0.5 | 혜미 이 | UI 개발 |
7 | 9 | 게시판 - 게시글 작성 페이지 개발 | 0.5 | 혜미 이 | UI 개발 |
7 | 10 | 더보기 - 내가 쓴 글 페이지 개발 | 0.5 | 혜미 이 | UI 개발 |
8 | 1 | 3차 배포 후 피드백 반영 | 6 | 혜미 이 | 유저 피드백 반영 |
8 | 2 | 코드 리팩토링 | 3 | 혜미 이 | 코드 정리 |
9 | 1 | 유지보수 및 피드백 반영 | 7 | 혜미 이 | 유지보수 및 개선 작업 |
플래닝 포인트: 64
스프린트 | 우선순위 | 업무명 | 플래닝 포인트 | 담당자 | 이유 |
---|---|---|---|---|---|
1 | 1 | 요구사항 분석 및 기획 | 4 | sophie | |
1 | 2 | 화면 설계, 기능 정의 | 4 | sophie | |
2 | 1 | ERD 설계 | 1 | sophie | |
2 | 2 | 클라우드 설계 | 6 | sophie | |
2 | 3 | MVP GCP 예산 측정 | 0.5 | sophie | 클라우드 비용 산정 및 스토리 작성 목적 |
2 | 4 | AWS 공용 계정 생성 및 IAM 계정 생성 | 0.5 | sophie | 클라우드 팀원들 간 리소스 공유와 권한 분리를 위한 계정 체계 필요 |
3 | 1 | 백엔드 VM 구축 (Java + SpringBoot) | 2 | sophie | 백엔드 서버 배포를 위한 독립된 환경 마련 목적 |
3 | 2 | 프론트 VM 구축 (React) | 2 | sophie | 프론트 서버 배포를 위한 독립된 환경 마련 목적 |
3 | 3 | AI VM에 환경 구축 (FastAPI) | 2 | sophie | AI 서버 배포를 위한 환경 마련 목적 |
3 | 4 | DB 연동 | 0.5 | sophie | 백엔드와 DB 간 데이터 흐름 정상 작동 여부 검증 필요 |
4 | 1 | v1 배포 | 1 | sophie | 서비스 기능 개선 및 변경사항을 적용하기 위한 MVP 배포 작업 수행 |
4 | 2 | Terraform 초기 설정 | 1 | sophie | Terraform으로 인프라를 코드화하기 위해 필요 |
4 | 3 | VPC, Subnet, SG, bastion, EC2, ALB, ASG 모듈 코드 작성 | 3 | sophie | 리소스들을 모듈화하여 재사용성 높이기 위해 필요 |
4 | 4 | S3 버킷 구성, CloudFront | 1 | sophie | 정적 파일을 저장하고 CloudFront로 빠르고 안전한 배포 환경 구축 목적 |
4 | 5 | GitHub Actions 기반 Terraform CI/CD 실시 | 3 | sophie | 인프라 변경 자동화로 안정성과 배포 속도 확보 |
5 | 1 | Dockerfile 작성 및 테스트 | 8 | sophie | 컨테이너화로 일관된 실행 환경 제공 및 EKS 배포 기반 마련 |
6 | 1 | v2 배포 | 2 | sophie | 최신 기능 반영 및 기존 문제 해결을 포함한 안정적 배포 수행 |
6 | 2 | CI/CD 파이프라인 구축과 자격 증명을 안전하게 관리 | 2 | sophie | GitHub Actions 환경 구성 및 AWS 자격증명을 Secrets로 안전 관리 |
6 | 3 | S3 backend, DynamoDB 코드 작성 | 2 | sophie | Terraform 상태 파일과 락 테이블을 통한 안전한 작업 수행 |
6 | 4 | 쿠버네티스 도입 | 3 | sophie | EKS 전환을 위한 기반 마련 |
7 | 1 | EKS 클러스터 구조 설계안 작성 | 2 | sophie | EC2 기반 이후, EKS 전환을 위한 준비 단계 |
7 | 2 | Terraform에 EKS 코드 틀 작성 | 2 | sophie | Kubernetes 인프라 구성의 초석 마련 |
7 | 3 | CloudWatch 및 CloudTrail, Billing Alarm 설정 | 3 | sophie | 시스템 상태, 접근 로그, 과금 모니터링과 대응을 위한 구성 |
7 | 4 | 서비스 헬스 체크 및 알람 정책 설정 | 2 | sophie | 장애 감지 및 알람 자동 대응 구성 |
8 | 1 | v3 배포 | 1 | sophie | 기능/성능 개선 포함한 안정적 업데이트 |
8 | 2 | 코드 리팩토링, 문서화 | 2 | sophie | 코드 품질 향상 및 협업 강화를 위한 정리 |
8 | 3 | EKS로 전환 | 2 | sophie | EC2 환경에서 Kubernetes 환경으로 확장성 있게 전환 |
8 | 4 | EKS 모니터링 도구 구성 (Prometheus, Grafana) | 2 | sophie | Pod 상태, 리소스 사용량, 트래픽 가시화로 운영 안정성 확보 |
8 | 5 | 총 비용 산정 | 2 | sophie | 온프레미스, EC2, EKS 환경 간 자원/비용 비교 분석 목적 |
9 | 1 | 부하 테스트 준비 | 3 | sophie | EKS 환경의 확장성 및 안정성 검증 목적 |
9 | 2 | 운영 안정화 및 최종 발표 준비 | 3 | sophie | 운영 점검 및 결과물 정리를 통한 발표 준비 |
플래닝 포인트: 72.5
스프린트 | 우선순위 | 업무명 | 플래닝 포인트 | 사람 | 이유 |
---|---|---|---|---|---|
1 | 3 | 요구사항 분석 및 기획 | 3 | noah.hwang | 프로젝트 방향성과 기능 범위를 명확히 정의하기 위해 1기능 설계 |
1 | 2 | 기능 설계 | 3 | noah.hwang | 기능 간 우선순위와 흐름을 정리하여 개발 혼선을 방지하기 위해 |
1 | 1 | 화면 설계 | 5 | noah.hwang | 사용자 경험과 흐름을 사전에 구체화하기 위해 |
1 | 1 | MVP 아키텍처 설계 | 3 | noah.hwang | 최소 기능 제품을 빠르게 구현하고 확장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해 |
2 | 2 | 클라우드 설계 | 4 | noah.hwang | 인프라 구성을 미리 설계함으로써 배포 및 운영 효율성을 확보하기 위해 |
2 | 3 | MVP AWS 예산 측정 | 3 | noah.hwang | 클라우드 비용 산정 및 스토리 작성 목적 |
2 | 4 | AWS 공용 계정 생성 및 IAM 계정 생성 | 2 | noah.hwang | 클라우드 팀원들 간 리소스와 액세스 권한 분리를 위한 계정 체계 필요 |
3 | 1 | 백엔드 VM 구축 (Java + SpringBoot) | 2 | noah.hwang | 백엔드 서버 배포를 위한 독립된 환경 마련 목적 |
3 | 2 | 프론트 VM 구축 (React) | 2 | noah.hwang | 프론트 서버 배포를 위한 독립된 환경 마련 목적 |
3 | 3 | AI VM 구축 (FastAPI) | 2 | noah.hwang | AI 서버 배포를 위한 독립된 환경 마련 목적 |
3 | 4 | DB 연동 | 3 | noah.hwang | 백엔드 DB 간 데이터 흐름 정상 작동 여부 검증 목적 |
4 | 1 | v1 배포 | 4 | noah.hwang | 서비스 기능 개선 및 변경사항을 적용하기 위한 MVP 배포 작업 수행 |
4 | 2 | Terraform 초기 설정 | 1 | noah.hwang | terraform으로 인프라를 코드화하기 위해 필요 |
4 | 3 | VPC, Subnet, Security Group, bastion, EC2, ALB, Auto Scaling 등의 모듈 코드 작성 | 3 | noah.hwang | 리소스를 모듈화하여 재사용성 높이기 위해 필요 |
4 | 4 | S3 버킷 구성, CloudFront | 1 | noah.hwang | 정적 파일을 저장하고 CloudFront를 통해 안정적인 전달을 위한 웹 리소스 배포 환경 구축 |
4 | 5 | GitHub Actions 기반 Terraform CI/CD 실시 | 3 | noah.hwang | 수동 배포를 자동화하여 인프라 변경의 안정성, 일관성, 배포 속도를 높이기 위해 |
5 | 1 | Dockerfile 작성 및 테스트 | 8 | noah.hwang | 애플리케이션을 컨테이너 기반으로 패키징하여 일관된 실행 환경 제공 및 이후 EKS 배포 기반 마련 |
6 | 1 | v2 배포 | 2 | noah.hwang | 기능 반영 및 기능 문제 해결을 포함한 두 번째 배포 진행 |
6 | 2 | 자격 증명을 안전하게 관리 | 2 | noah.hwang | AWS 자격 증명을 GitHub Secrets로 안전하게 관리하기 위해 |
6 | 3 | S3 backend, DynamoDB 코드 작성 | 2 | noah.hwang | Terraform 상태 파일을 안전하게 관리하고 동시에 작업 충돌 방지를 위해 backend 구성 |
6 | 4 | 쿠버네티스 도입 | 3 | noah.hwang | EKS 전환을 위한 과정 |
7 | 1 | EKS 클러스터 구조 설계안 작성 | 2 | noah.hwang | EC2 기반 아키텍처에서 EKS 전환을 위한 준비 단계 |
7 | 2 | Terraform에 EKS 코드를 작성 | 2 | noah.hwang | EC2 기반 인프라에서 EKS로 전환하기 위해 쿠버네티스 인프라 구성 코드 작성 |
7 | 3 | CloudWatch 및 CloudTrail, Billing Alarm 설정 | 3 | noah.hwang | 시스템 상태, 접근 로그, 과금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장애 발생 시 빠르게 대응하기 위해 |
7 | 4 | 서비스 헬스 체크 및 알람 정책 설정 | 2 | noah.hwang | 주요 서비스의 장애 여부를 자동 감지하고 알람으로 즉시 대응 가능하도록 구성 |
8 | 1 | v3 배포 | 1 | noah.hwang | 개선된 기능과 성능 향상을 포함한 3번째 안정적 배포 |
8 | 2 | 코드 리팩토링, 문서화 | 2 | noah.hwang | 코드 품질 향상 및 팀 협업을 위한 구조 정리 및 문서 제공 |
8 | 3 | EKS로 전환 | 2 | noah.hwang | 기존 EC2 환경에서 쿠버네티스 기반 환경으로 전환해 확장성, 운영 효율성 확보 |
8 | 4 | EKS 모니터링 도구 구성 (Prometheus, Grafana) | 2 | noah.hwang | EKS 환경의 Pod 상태, 리소스 사용량, 트래픽 등의 가시화를 통해 운영 안정성 확보 |
8 | 5 | 총 비용 산정 | 2 | noah.hwang | 온프레미스, EC2 기반, EKS 기반 인프라 구성에 따른 리소스 사용량 비교 및 최적화 평가 필요 |
9 | 1 | 부하 테스트 준비 | 3 | noah.hwang | 실제 운영 트래픽 대비해 EKS 환경에서의 안정성 및 확장성 검증 |
9 | 2 | 운영 안정화 및 최종 발표 준비 | 3 | noah.hwang | 서비스 운영 상태 점검 및 최종 발표를 위한 결과물 정리와 안정화 작업 수행 |
플래닝 포인트: 85
스프린트 | 우선순위 | 업무명 | 플래닝 포인트 | 담당자 | 이유 |
---|---|---|---|---|---|
1 | 1 | 요구사항 분석 및 기획 | 4 | evan.kim | 프로젝트 방향성과 기능 범위를 명확히 정의하기 위해 |
1 | 2 | 화면 설계, 기능 정의 | 4 | evan.kim | 기능 흐름 정리와 개발 혼선 방지 목적 |
2 | 1 | ERD 설계 | 1 | evan.kim | 데이터베이스 구조 정의 |
2 | 2 | 클라우드 설계 | 6 | evan.kim | 인프라 구조 설계 및 최적화 준비 |
2 | 3 | MVP GCP 예산 측정 | 1 | evan.kim | 클라우드 비용 산정 및 스토리 작성 목적 |
2 | 4 | AWS 공용 계정 생성 및 IAM 계정 생성 | 1 | evan.kim | 리소스 분리 및 팀원 권한 설정 목적 |
3 | 1 | 백엔드 VM 구축 (Java + SpringBoot) | 2 | evan.kim | 백엔드 독립 환경 구축 |
3 | 2 | 프론트 VM 구축 (React) | 2 | evan.kim | 프론트 독립 환경 구축 |
3 | 3 | AI VM 환경 구축 (FastAPI) | 2 | evan.kim | AI 서버 독립 환경 구축 |
3 | 4 | DB 연동 | 1 | evan.kim | DB와 백엔드 연결 정상 동작 확인 |
4 | 1 | v1 배포 | 1 | evan.kim | MVP 기능 배포 수행 |
4 | 2 | Terraform 초기 설정 | 1 | evan.kim | 인프라 코드화 준비 |
4 | 3 | VPC, Subnet, SG, bastion, EC2, ALB, ASG 모듈 코드 작성 | 3 | evan.kim | 리소스 모듈화 및 재사용성 확보 |
4 | 4 | S3 버킷 구성, CloudFront | 1 | evan.kim | 정적 파일 안정 배포 구성 |
4 | 5 | GitHub Actions 기반 Terraform CI/CD 구축 | 3 | evan.kim | 인프라 자동화 배포 구축 |
5 | 1 | Dockerfile 작성 및 테스트 | 8 | evan.kim | 컨테이너화 및 실행 환경 일관성 확보 |
6 | 1 | v2 배포 | 2 | evan.kim | 최신 기능 안정 배포 |
6 | 2 | CI/CD 파이프라인 구축 및 자격증명 안전 관리 | 2 | evan.kim | 배포 자동화 및 인증정보 안전화 |
6 | 3 | S3 backend, DynamoDB 코드 작성 | 2 | evan.kim | 상태파일 백엔드 구성 |
6 | 4 | 쿠버네티스 도입 | 3 | evan.kim | Kubernetes 기반 운영 준비 |
7 | 1 | EKS 클러스터 구조 설계안 작성 | 2 | evan.kim | Kubernetes 클러스터 설계 |
7 | 2 | Terraform에 EKS 코드 작성 | 2 | evan.kim | EKS 인프라 코드화 |
7 | 3 | CloudWatch 및 CloudTrail, Billing Alarm 설정 | 3 | evan.kim | 모니터링 및 경보 설정 |
7 | 4 | 서비스 헬스 체크 및 알람 정책 설정 | 2 | evan.kim | 장애 감지 및 자동 대응 설정 |
8 | 1 | v3 배포 | 1 | evan.kim | 기능/성능 개선 반영 배포 |
8 | 2 | 코드 리팩토링, 문서화 | 2 | evan.kim | 코드 품질 개선 및 문서화 |
8 | 3 | EKS로 전환 | 2 | evan.kim | EC2에서 Kubernetes로 전환 |
8 | 4 | EKS 모니터링 도구 구성 (Prometheus, Grafana) | 2 | evan.kim | 리소스/트래픽 모니터링 구축 |
8 | 5 | 총 비용 산정 | 2 | evan.kim | 온프레미스, EC2, EKS 비용 비교 분석 |
9 | 1 | 부하 테스트 준비 | 3 | evan.kim | EKS 환경 부하 테스트 |
9 | 2 | 운영 안정화 및 최종 발표 준비 | 3 | evan.kim | 운영 점검 및 결과 정리 |
플래닝 포인트 총합: 78
스프린트 | 우선순위 | 업무명 | 플래닝 포인트 | 담당자 | 이유 |
---|---|---|---|---|---|
1 | 1 | 요구사항 분석 및 기획 | 3 | milo.park | 서비스 방향성 및 핵심 기능 정의 필요 |
1 | 2 | 화면 설계 | 3 | milo.park | 이후 설계와 개발에 필요 |
1 | 3 | 기능 정의 | 2 | milo.park | 모든 기능 개발에 선행됨 |
2 | 1 | Huggingface에서 AI 모델 탐색 | 3 | milo.park | 적은 파라미터와 코드 특화된 모델 탐색 |
2 | 2 | API 명세서 작성 | 3 | milo.park | 백엔드와 통신을 위함 |
2 | 3 | 탐색한 AI 모델 실험 | 3 | milo.park | MVP 이후 바로 해당 모델로 서빙하기 위함 |
3 | 1 | 문제 해설 제공 기능 개발 | 4 | milo.park | 해설지 제공 기능에 필요 |
3 | 2 | FastAPI 서버 개발 | 3 | milo.park | 백엔드와 통신 및 모델 연동을 위함 |
4 | 1 | 코드 리팩토링 | 5 | milo.park | 랭체인 문법에 맞춰 복잡한 코드 개선 및 분할 필요 |
4 | 2 | 버그 수정 | 4 | milo.park | 테스트 중 발견된 기능 오류 수정 |
5 | 1 | 해설 기능 모델 교체 | 3 | milo.park | 비용 절감 및 안정성 제공을 위해 필수적 |
5 | 2 | 해설 기능에 RAG 적용 | 5 | milo.park | 언어, 라이브러리 공식 사이트 문서 RAG 로 통합 |
6 | 1 | 코드 리팩토링 및 버그 수정 | 4 | milo.park | 오류 수정 및 복잡한 코드 개선 |
6 | 2 | 성능 개선 | 4 | milo.park | RAG 및 로컬 모델 성능 개선 |
7 | 1 | 추천 문제 시스템 기능 개발 | 5 | milo.park | 추천 문제 제공 기능에 필요 |
7 | 2 | 춘식이 키우기 개발 | 4 | milo.park | 메인 페이지 내의 사이드 프로젝트 기능 개발 |
8 | 1 | 코드 리팩토링 및 예외 처리 | 5 | milo.park | 오류 메시지/예외 핸들링 로직 보강 |
8 | 2 | API 응답 개선 | 4 | milo.park | 전체적인 API 응답 개선을 위함 |
9 | 1 | 춘식이 키우기 개발 | 3 | milo.park | 메인 페이지 내의 사이드 프로젝트 기능 완성 |
9 | 2 | 최종 발표 준비 | 4 | milo.park | 최종 발표 및 정리를 위함 |
플래닝 포인트 총합: 77
스프린트 | 우선순위 | 업무명 | 플래닝 | 사람 | 이유 |
---|---|---|---|---|---|
1 | 1 | 요구사항 분석 및 기획 | 4 | yohan | 향후 프로젝트가 진행 될 목표 정의 |
1 | 2 | 화면 설계, 기능 정의 | 4 | yohan | 개발 과정에서의 혼란 최소화 |
2 | 1 | ERD 설계 | 1 | yohan | 프로젝트 흐름 파악 |
2 | 2 | API 명세서 작성 | 3 | yohan | 필요한 정보들 정리 |
2 | 3 | Huggingface에서 AI 모델 탐색 | 3 | yohan | 서비스 시, 비용 절감을 목표 |
2 | 4 | 탐색한 AI 모델 실험 | 2 | yohan | 성능 테스트 및 실행속도 최적화 |
3 | 1 | FastAPI 테스트 | 4 | yohan | 에러 확인 |
3 | 2 | 도커 이미지화 | 3 | yohan | 과제 수행 |
4 | 1 | 코드 정리 | 6 | yohan | 유지 보수 |
4 | 2 | 챗봇 제작 | 4 | yohan | 코레에서 정상 작동 테스트 |
5 | 1 |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 2 | yohan | 플루네이션, 탈옥 방지 작업 |
5 | 2 | FastAPI 테스트 | 3 | yohan | 에러 확인 |
5 | 3 | 도커 이미지화 | 2 | yohan | 원활한 배포 |
5 | 4 | 추천문제, 유저 군접화 확인 | 1 | yohan | 추가 기능 검토 |
6 | 1 | 코드 정리 | 5 | yohan | 유지 보수 |
6 | 2 | 추천 문제 알고리즘 제작 | 2 | yohan | 코랩으로 사전 테스트 |
6 | 2 | 유저 군접화 알고리즘 제작 | 2 | yohan | 코랩으로 사전 테스트 |
7 | 1 | 추천 문제 api 테스트 | 4 | yohan | 에러 확인 |
7 | 1 | 유저 근접화 api 만들기 | 4 | yohan | 에러 확인 |
7 | 1 | 도커 작업 | 1 | yohan | 원활한 배포 |
8 | 2 | 코드 정리 | 4 | yohan | 유지 보수 |
8 | 2 | 미흡한 부분 확인 및 개선 | 5 | yohan | 앞선 스프린트에서 미비된 작업 수행 |
9 | 2 | 다른 과정 부분 도움 | 4 | yohan | 역할 수행 |
9 | 2 | 프로젝트 정리 및 회고 | 3 | yohan | 기록 남기기 |
총 플래닝 포인트: 8 + 9 + 7 + 9 + 8 + 9 + 9 + 9 + 7 =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