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6단계_MCP_활용_설계_유저행동기반_성향분석 - 100-hours-a-week/12-marong-Wiki GitHub Wiki

MCP 미사용 시 외부 연계 처리 방식

처리구조

항목 방식
사용자 MBTI 조회 AI DB 직접 조회
유사 피드 매핑 ID -> 레이블 Chroma에서 검색된 ID -> 별도 dictionary 기반 레이블 매핑
사용자 성향 기록 업데이트 LLM 결과 -> FastAPI POST 요청으로 저장

MCP 미사용 선택의 정당성 및 이유

항목 설명
실시간X 분석 결과가 즉시 사용되지 않고, 일정 기간에 1회 업데이트되는 형식이기 때문에 부담이 없음
구조 간소화 불필요한 중간 캐시/저장 포인트 없이 직접적인 DB 연동으로 단순한 구조 확보
기능 단순화 현재 기능이 MBTi 점수 분석 중심이므로, MCP를 사용했을 때의 장점인 상태 누적/트래킹 기능은 과도함
유지보수 편의성 각 기능들이 독립 모듈로 운영 가능하며 유지보수가 효율적

장기적 확장성과 기능 구현 관점의 영향

향후 고려사항

  • 사용자 이력 축적에 따른 패턴 분석 등 기능 추가시 MCP 또는 이와 유사한 통합 이력 관리 구조 필요 가능성 존재
  • 여러 성향을 연계한 결과 제공 시, 성향별 결과를 통합하는 메타데이터 허브가 요구됨
  • 대용량 사용자 대상 맞춤형 보고서 기능 추가 시 일관성 있는 기록 구조가 핵심이 됨

결론

실시간성이 중요하지 않은 MBTI 분석 서비스로, MCP를 도입하지 않더라도 전체 기능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고 유연하여 초기 개발과 유지보수에 유리하다. 다만 사용자의 다중 성향 누적 추적, 대규모 성향 집계 등 고차원적인 분석 서비스로 확장될 경우 도입 검토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