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개발 가이드라인 | 신규 기능 개발 플로우 - DDD-Community/DDD-12-MOYORAK-API GitHub Wiki
요약:
- 이슈 생성 -> 진행 중으로 상태 변경 및 담당자 지정 -> 브랜치 생성 -> 기능 개발 -> PR 생성 및 리뷰 -> 머지 -> 완료
새로운 기능을 개발할 때의 표준적인 작업 흐름입니다.
1. 이슈 생성
- 프로젝트 보드에서 신규 이슈를 생성합니다.
- 기능 명세와 목적을 간결히 작성합니다.
2. 이슈 진행 상태 변경 및 담당자 지정
- 이슈 상태를 **‘진행 중’**으로 변경합니다.
- 작업할 담당자를 지정합니다.
3. 기능 개발 브랜치 생성
- 이슈 번호 기반으로 브랜치를 생성합니다.
- 이슈 내부에서 간단하게 브랜치 생성이 가능합니다.
- 어느 브랜치를 기준으로 브랜치 생성을 할 것인지 확인합니다.
4. 개발
- 브랜치에서 기능을 구현합니다.
- 모요락 API의 컨벤션을 맞추어 개발 및 커밋 메세지를 작성합니다.
5. PR 생성
- 개발이 완료 되면 Pull Request를 생성합니다.
- 어느 이슈를 기반으로 작성 된 PR인지 확인하기 위해, [#이슈 번호]를 작성합니다.
- 리뷰를 요청하고, 변경 사항에 대해 피드백을 반영합니다.
6. 머지 및 완료
- PR이 승인되면 브랜치를 머지합니다.
- 머지가 되면, 다음 항목이 자동으로 처리됩니다.
- PR -> Close
- 연결된 이슈 -> Close
- 프로젝트 티켓 상태 -> 자동으로 '완료' 처리
⏸️ 보류 티켓 처리 방식
- 개발 도중 외부 의존, 기획 변경 등으로 진행이 어렵다면, 상태를
보류
로 변경합니다. - 이슈 제목 앞에 [보류] 표시를 붙여 식별성을 높입니다.
- PR이 이미 열려 있다면, Draft로 상태를 변경합니다.
- 사유를 이슈 또는 PR에 댓글로 남겨 팀원들과 공유합니다.
- 보류 해제 시, 기존 브랜치를 그대로 이어서 사용합니다.